[이코노믹리뷰=세종 윤국열 기자]LX한국국토정보공사는 올해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이다.
14일 LX공사에 따르면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LX공사 경기북부지역본부 개청식에 앞서 열린 ‘디지털 트윈국토 간담회’에서 ‘디지털 트윈국토’성과를 점검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재승 모빌테크 대표는 “디지털트윈 분야는 초기 투자비용이 높고 중소기업의 진입이 어렵다”면서 “정부가 벤처ㆍ스타트업 기업의 역량 강화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백종윤 네이버랩스 자율주행그룹부문장도 “디지털트윈 산업 활성화를 위해 보안관련 규제 개선과 기업간 공간정보 데이터 거래 활성화 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강영옥 이화여대 교수는 “공간정보 기반 AI를 적용하려면 다양한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구축돼야 한다”면서“ 3D 디지털트윈에서 시간개념을 포함하는 4D 기반의 동적 공간정보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LX공사 경기북부지역본부 개청식도 함께 열렸다.
이번 개청으로 남양주왕숙 신도시와 고양 JDS지구 건설 등으로 측량 수요가 늘고 있는 데다 각종 국토ㆍ도시 개발에 디지털트윈 등이 적극 활용됨에 따라 LX경기북부지역본부가 새로운 성장거점본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정렬 LX공사 사장은 “신설된 LX경기북부지역본부가 공간정보 사통팔달의 허브로 거듭나길 희망한다”면서 “이를 통해 경기북부 경제와 문화는 물론 도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LX공사는 전주시와 함께 구축한 ‘디지털트윈 전주’를 시연한 가운데 ‘디지털 트윈국토’ 가속화를 위한 기반 구축으로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 와 ‘지하공간 통합지도’ 를 오는 2022년까지 조기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