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도다솔 기자] 대한항공(003490)과 아시아나항공(003490) 기업결합 심사발표가 임박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말 제시한 심사보고서의 내용 등을 고려할 때 운수권과 슬롯(비행기 이착륙 횟수) 반납 등의 조건이 걸린 ‘조건부 승인’ 결론이 유력하다. 하지만 대한항공은 이 같은 조건이 부당하다며 줄곧 주장해왔기 때문에 최종 심사에서 대한항공의 의견이 얼마만큼 수용됐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1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 9일 조성욱 위원장 주재 아래 양사 기업결합 안건으로 전원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전원회의는 대한항공이 공정위에 기업결합심사를 신청한 지 1년 만에 이뤄진 것이다.
당시 회의는 오전 10시에 시작해 오후 늦게까지 마라톤 회의를 벌인 끝에 일부 세부사항을 제외하고 최대한 합의점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공정위가 통상 전원회의 개최 이후 일주일 뒤 최종 결과 발표를 한다는 점에서 이번 주나 다음 주 중 발표가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정위가 내건 조건, 합병 시너지 저하 우려
현재 합병 승인 합병 시나리오는 기존 공정위가 내놓은 심사보고서에 따라 운수권 재편과 슬롯을 일부 반납 등을 통해 독과점을 해소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2019년 기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중복 노선은 ▲미주 5개 ▲유럽 6개 ▲중국 18개 등으로 모두 65개에 이른다. 공정위는 이 중 미국 노선에서는 인천~LA·뉴욕·시애틀, 유럽 노선에서는 인천~바르셀로나, 중국 노선은 인천~칭다오 등 노선이 100% 독점 노선이 된다고 판단하면서 대한항공에 슬롯 일부 반납 방식으로 독점 문제를 해결하라고 요구한 상황이다. 또한 운임 인상 제한 조건도 내걸었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은 부당하다는 의견을 줄곧 밝혀왔다. 노선을 대폭 축소하면 규모의 경제를 통해 글로벌 초대형 항공사와 경쟁하겠다는 본래 합병 취지를 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대한항공 입장에선 일부 운수권과 슬롯을 반납하게 될 경우 당초 예상한 시너지를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항공은 기업결합으로 확대될 양 사의 운수권과 슬롯, 코로나19가 완전히 회복된다는 조건 아래 연 3,000~4,000억원의 합병 시너지를 예상했다. 하지만 공정위가 지적한 시장점유율 50% 여객 노선 중 북미, 유럽 등 알짜노선의 운수권이 축소되면 합병 시너지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또한 합병으로 직원은 늘었는데 노선이 축소되면 기단 운용이 줄어 인력감축으로 이어질 수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의 인수를 결정하면서 인위적 구조조정 없는 통합을 강조해왔다.
일각에서는 양사가 지난해 괄목할 만한 경영실적을 기록하면서 결합 성공 시 글로벌 경쟁력도 한층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여전히 크다. 국내 1·2위 항공사인 두 기업 간 빅딜이 마무리되면 통합 항공사는 세계 7위 국적항공사가 탄생하게 된다.

대한항공은 항공화물 매출 호조로 지난해 매출 8조7,534억원, 영업이익 1조4,64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8%, 515% 증가했다. 이는 11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아시아나항공도 매출 4조1,104억원, 영업이익 4,565억원을 기록하면서 4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아시아나항공 창사 이래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하지만 공정위의 심사를 통과한다 해도 넘어야할 산이 남아있다. 대한항공이 심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국가는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등 필수신고국가와 영국·호주 등 임의신고국이다. 특히 필수신고국 중 한 국가라도 불허 결정을 내릴 경우 양사 합병 절차는 무산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전원회의에서 대한항공 입장이 얼마나 반영됐을지 예측하기는 어렵다”면서 “현재 승인 여부에 관해서는 알 수 없지만 부정적인 전망은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주요국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한 뒤 아시아나항공의 지분(63.9%)을 인수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주식 취득 일정은 당초 예정 일자는 지난해 6월 30일이었으나 공정위의 승인이 늦어지면서 거듭 연기돼 오는 3월31일까지 늦춰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