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스포츠ㆍMICE 복합공간 조감도. 자료=서울시
[이코노믹리뷰=최남영 기자] 총 사업비가 2조원 이상인 ‘서울 국제교류복합지구 잠실 스포츠ㆍMICE(마이스) 복합공간 조성 민간투자사업’ 수주전이 본격적으로 열린다. 재공고 등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서울시는 다음달 2단계 평가(기술 부문ㆍ가격 및 공익성 부문 평가)를 진행하고, 서둘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29일 민간투자업계에 따르면 잠실 스포츠ㆍ마이스 민간투자사업의 1단계 평가(사전적격성 평가)를 무탈하게 통과한 ‘글로벌복합마이스’(한국무역협회 컨소시엄)과 ‘서울스마트마이스파크’(한화그룹ㆍ하나금융그룹ㆍHDC그룹 컨소시엄)은 이날 서울시에 2단계 평가서(사업 제안서)를 제출했다. 두 팀이 각각 낸 사업 제안서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다.
업계는 두 컨소시엄이 보유한 건설 기술력과 자금 조달력은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 공간ㆍ디자인계획과 설계계획 등에서 승패가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부의 재정지원’(민자적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시행자가 주무관청에 지급해야 하는 금액)에 대한 저항 여부도 변수로 꼽히고 있다. 서울시는 이 사업 제3자 제안공고에 앞서 부의 재정지원 규모를 약 7,006억원(관리운영권 설정기간 40년 기준)으로 설정했다.
이 같은 분석에 따라 두 컨소시엄은 자신들이 가진 강점을 최대한 부각하는 방향으로 제안서를 작성했다는 설명이다. 이 사업을 기획한 글로벌복합마이스는 제안자 지위를 십분 활용해 제안서를 썼다고 밝혔다. 더불어 국내 첫 국제 전시장인 ‘코엑스(COEX)’를 운영하면서 쌓은 노하우도 강조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잠실 스포츠ㆍMICE 복합공간을 우리나라 서비스 산업과 무역을 한 단계 성장시키는 요람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컨소시엄 내 CI(건설투자자)는 현대건설ㆍGS건설ㆍ포스코건설ㆍ대우건설ㆍ롯데건설 등이다. 사업 제안 당시 함께했던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DL이앤씨(옛 대림산업)는 빠졌다.
자금 조달은 KB금융그룹ㆍ한국투자증권ㆍNH증권 등이, 운영은 CJ ENMㆍ인터파크ㆍ조선호텔ㆍ롯데호텔ㆍ신세계프라퍼티 등이 각각 맡을 예정이다.
대항마인 서울스마트마이스파크도 경쟁할 준비를 완료했다. 제안자 팀과 차별화를 강조하는 동시에 3개의 아트스트리트를 줄기로 한 복합 문화 컴플렉스를 구현, ‘서울의 테이트모던(방치 발전소를 리모델링해 만든 영국의 현대미술관)’으로 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 팀의 구성원 킨텍스를 통해 대형 전시장 경영노하우도 내세우고 있다.
이 컨소시엄 관계자는 “한강과 88올림픽의 유산을 바탕으로 잠실을 문화ㆍ스포츠ㆍ이벤트가 혼재하는 서울의 새로운 문화ㆍ비즈니스 중심으로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스마트마이스파크 CI는 HDC현대산업개발과 한화건설을 비롯해 금호건설ㆍ중흥건설ㆍ우미건설 등이다. 자금 조달은 하나금융투자와 함께 신한은행ㆍ이지스자산운용ㆍHDC자산운용 등이, 운영은 킨텍스ㆍ넥슨ㆍ아이파크몰ㆍ한화갤러리아ㆍ한화호텔앤리조트 등이 각각 담당한다.
사업 제안서 접수 마감에 따라 서울시도 평가 돌입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서울시는 최근 2단계 평가 담당 기관으로 서울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를 선택했으며, 평가 일정은 다음달 7~9일까지로 설정했다. 이르면 9일 오후께 우선협상대상자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이어 내년 하반기 중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오는 2023년 첫 삽을 뜬다는 게 서울시의 계획이다. 1단계 시설 준공 예정일은 2026년이다.
잠실 스포츠ㆍ마이스 복합공간 조성사업은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부지(35만7,576㎡ㆍ수상면적 포함)에 전시ㆍ컨벤션과 스포츠 콤플렉스 등의 문화ㆍ상업시설 및 업무시설 등을 ‘BTO(수익형 민간투자)’ 방식으로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추정 총 사업비는 2조1,672억원으로, 전액 민간 사업자가 부담한다. 글로벌복합마이스가 지난 2016년 제안해 기지개를 켰다.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KDI PIMAC)가 주관하는 민자적격성 조사를 지난해 5월 완료했다. 여기에서 B/C(비용 대비 편익) 1.019를 받아 타당성을 확보했다. 이어 지난 3월에 열린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마친 후 제3자 공고 절차에 착수했다.
사업권을 확보한 민간사업자는 최대 40년 동안 운영 권한을 지닌다. 하지만 운영 기간은 서울시와 협상 과정에서 바뀔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