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보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폐기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탄소중립 계획을 국제무대에 소개한 것은 처음으로, 수소경제 실현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기후변화 및 환경’ 세션에서 “한국은 석탄 감축 정책을 과감하게 시행하고 있다”며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폐기해 탄소중립에 발을 맞추겠다”고 밝혔다.

최근 정부는 2050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온실가스 국내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확정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따라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상향했으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2030 NDC 목표를 우리가 어떻게 실천하느냐가 2050 탄소중립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며 “많은 한국 기업이 RE100(재생에너지 100%)에 적극 참여 중으로, 정부가 민간 기술개발과 투자를 뒷받침하며 탄소중립 속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이 올해 노후 석탄발전소 8기의 조기 폐쇄와 함께 연내 2기를 추가 폐쇄하고, 신규 해외석탄발전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 중단하는 등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탄소중립에 대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협력도 필수적이라며 개발도상국의 탄소중립 노력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메탄 비중을 낮추기 위한 ‘국제메탄 사업’에 참여하고, ‘그린 ODA(공적개발원조)’ 비중을 확대해 개발도상국의 탄소중립 노력에 기여하겠다”며 “"한국이 ‘그린 뉴딜’을 통해 만들어내고 있는 신산업과 새로운 일자리는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동력”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