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화평 기자] 한화시스템(272210)이 국내 최초로 해외 우주개발 선진국에 위성 핵심부품 수출을 성사시켰다.

한화시스템은 독일 위성체계업체인 ‘OHB System AG’와 위성에 탑재되는 ‘적외선 검출기 냉각장치 진동저감장치’ 수출계약을 맺었다고 27일 밝혔다.

진동저감장치는 위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켜 위성의 관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핵심 장치다. 이번에 독일 OHB에 공급하는 진동저감장치는 진동 크기가 상이한 궤도의 미세 진동 저감뿐 아니라 발사 진동환경에서의 진동저감에도 효율적 대응이 가능해 해외 우주시장에서 기술적 우위 및 차별성을 인정받고 있다.

위성 탑재체 IR센서 냉각기에 탑재될 진동저감장치. 출처=한화시스템
위성 탑재체 IR센서 냉각기에 탑재될 진동저감장치. 출처=한화시스템

위성은 발사부터 우주에서 임무운용까지 다양한 환경에 노출된다. 이때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은 고해상도 영상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야기한다. 대표적인 예로 ▲고해상도 관측 위성의 영상 데이터를 지상으로 전송하는 짐벌식 안테나 ▲적외선 센서 초점면의 극저온 구현을 위한 냉각기 ▲위성의 자세제어 구동기인 반작용 휠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이 있다.

특히 위성의 적외선 센서는 고속으로 비행하면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고감도 센서가 탑재되며 이 때 발생하는 열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극저온 냉각기가 사용된다. 이런 냉각기는 위성의 궤도 운영 시 미세한 진동을 유발시켜 관측 위성의 고해상도 영상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한화시스템, 오현웅 조선대학교 교수, 항공우주연구원은 진동저감장치 개발 공동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SCIE 저널 ‘에어로스페이스’에 ‘80kg급 X-대역 능동형 초소형 SAR 위성 설계’ 논문을 등재해 초소형 위성 제조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논문에 따르면 진동저감장치 기술력은 향후 초소형 위성 발사체 진동저감장치로까지 확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 교수는 “최근 위성 기술 발전에 따른 고해상도 영상 수요 증가, 임무의 고도화로 인해 관측 위성의 영상 품질에 대한 기준이 엄격해져 진동저감장치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며 “국내 순수 기술로 개발한 위성의 진동저감장치를 해외 우주개발선진국에 수출한 최초 사례인 만큼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위성 기술의 글로벌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