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화평 기자] 정부가 2023년까지 수소트램을 상용화하고 2024년부터 양산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까지 총 사업비 424억원(정부 282억원)을 투자해 수소트램을 상용화하는 ‘수소전기트램실증사업’에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이 사업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자동차 중심의 수소모빌리티 영역을 철도까지 확대하고 글로벌 친환경 트램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기획됐다.
수소트램의 빠른 상용화를 위해 세계최고 수준의 수소차 기술력을 수소트램용 전용부품 개발에 활용하고 울산시가 보유한 유휴선로를 활용해 실주행 및 검증할 예정이다.
수소트램은 전철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교통수단으로 차량 내 탑재된 수소연료전지를 통해 열차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철과 달리 전력설비 등 외부동력공급 인프라가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건설비가 저렴하다.
배터리방식의 전기트램은 주행거리가 길어질수록 고중량·고가의 배터리탑재량도 늘어 무게·부피·생산비용도 상승하고 충전시간도 긴 단점이 있다. 장거리 주행이 필요하거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수소트램이 전기트램에 비해 강점이 있다는 게 산업부 설명이다.
수소트램은 수소차와 비교해 대비 고내구성이 필요한 고난도 분야로서 글로벌 시장은 아직 초기단계로 확고한 선도기업이 없다.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이 수소트램 상용화를 위한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 기업이 보유한 세계최고 수준의 수소차 기술력과 경험을 활용하면 단기간에 수소트램을 상용화하고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철도차량 시장 중 동력원을 수소연료전지로 대체가능한 시장은 2025년 7,000억원에서 2030년 4조원, 2050년 18조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넥쏘용 수소연료전지(95kW) 4개에 해당하는 380kW급 수소트램을 상용화하기 위해 이달부터 2023년 말까지 4대분야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수소트램 시스템 통합·검증기술’ 분야는 철도전문기업인 현대로템이 주관하고 맥시스(모터)· 코아칩스(센서)·푸름케이디(제동)·에스제이스틸(차체)·에이엔엠메카텍(냉각) 등 중소철도부품업계 5곳도 함께 참여해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수소열차분야에 도전한다.
내년까지 수소트램에 탑재할 모터와 제동장치 등 부품을 제작하고, 2023년에는 제작된 부품을 통합해 수소트램 실차를 제작해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수소트램전용 수소연료전지 및 요소부품기술’ 분야는 수소차 부품 개조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주관하고 지엠비코리아(연료전지 열관리)·에티스(연료전지 제어)·동희산업(수소저장용기)·화승알앤에이(플랙서블 튜브)·씨에스에너텍(배터리)·한양대·서강대(설계) 등 수소차부품 전문기업과 대학 7곳이 참여한다.
‘수소트램 기술기준 및 주행성능평가기술’ 분야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주관하고 동 사업이 수출을 염두에 둔 프로젝트인 만큼 유럽안전성 평가기관인 티유브이슈드의 한국지사도 참여한다.
‘수소트램 실주행 환경 실증 및 운영기술’ 분야는 울산TP가 주관하고 코비즈(비즈니스모델 발굴)·범한퓨얼셀(수소충전소 구축)·가스안전연구원(수소충전소 안전검증)·울산대(수소트램 최적운행패턴) 등 인프라‧안전‧분석기관 4곳이 참여한다.
2022년까지 수소트램용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2023년부터 울산시 유휴선로(울산역↔울산항)에서 누적 2500km이상 주행하면서 연비 등을 고려한 최적주행패턴을 검증할 계획이다.
사업이 종료되는 2024년부터 수소트램 양산을 개시하고 국내·외 판로를 적극 개척해나갈 예정이다. 국내는 울산과 동탄 등 신규 도시철도사업 계획이 있는 지자체와 수소트램 적용을 우선 협의한다. 유럽·동남아 등 트램수요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해외판로를 개척해나갈 예정이다.














- PEMFC, SOFC, DMFC (수송용/발전용/가정용) 연료전지 중심 -
주최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 일시 : 2021년 10월 15일 , 장소 : 전경련회관
https://www.kecft.or.kr/shop/item20.php?it_id=1630030837
자동차(수송)용 PEMFC(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부품/소재기술 세미나 안내입니다.
- 스택, 시스템, 전해질, 전극, 분리막, MEA, 안전기준 -
주최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 일시 : 2021년 10월 22일 , 장소 : 전경련회관
https://www.kecft.or.kr/shop/item20.php?it_id=1630031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