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민단비 기자] 내달 국정감사를 앞두고 3N(넥슨·엔씨소프트·넷마블)이 모두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16일 김정주 넥슨 창업주와 강원기 메이플스토리 총괄 디렉터가 공정위 국감에 ‘게임 메이플스토리 내 아이템 확률조작’과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된 데 이어서다.

3N 국감 증인 채택 여부에 관심이 모이는 가운데 과거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의 확률형 아이템 관련 발언이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018년 국정감사에서 김 대표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 “아이템을 가장 공정하게 사용자들에게 나눠주기 위한 기술적 장치이며, 게임 내 사행성을 유도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올초 확산된 확률형 아이템 논란... 게임업계 자율규제 강화로 논란 잠재워

확률형 아이템은 국내 게임 업계의 고질적 논란 중 하나다. 확률형 아이템이란 게임 이용자가 게임 내에서 구매하는 아이템의 종류나 성능 등이 우연적 요소에 의해 정해지는 아이템이다. 문제는 일부 게임에서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이 극히 낮아 원하는 아이템을 뽑으려면 이용자들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용자들은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 꾸준히 불만을 제기해왔지만 일부 게임사들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확률형 아이템 논란은 올해 초부터 들불처럼 번지기 시작했다. 발단이 된 게임은 넥슨의 대표 PC 게임 ‘메이플스토리’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이용자들의 확률 공개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자 유료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정보를 공개했는데, 특정 아이템의 출현 확률이 사실상 0%인 것으로 밝혀졌다. 메이플스토리 사태로 타 게임 이용자들도 게임사들이 확률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정치권도 확률형 아이템 관련 법안을 속속 발의하며 압박에 동참했다.

논란은 게임업계가 자율규제 준수 및 강화를 앞세우면서 다소 사그라들었다. 72개 게임사를 회원으로 둔 한국게임산업협회는 지난 5월 27일 건강한 게임문화 조성을 위한 자율규제 강령 개정안’을 오는 12월부터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개정안은 자율규제 적용 대상을 ‘아이템’에서 효과·성능 등을 포함한 ‘콘텐츠’로 확대했고, 캡슐형에서 강화형, 합성형 콘텐츠로 넓히는 등 조건을 강화했다.

출처=한국게임산업협회
출처=한국게임산업협회

한국게임산업협회의 발표와 함께 엔씨소프트도 확률형 아이템 관련 입장을 내놨다. 회사는 올 3분기부터 모든 게임에 개정안을 순차 적용할 것을 약속했다. 개정안 시행 전부터 선제적으로 움직이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엔씨는 지난 8일 업데이트를 통해 리니지M의 확률형 콘텐츠의 확률 정보를 공개했다.

김택진 대표,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입장 변화 여부 ‘주목’

김택진 대표가 국감 증인으로 채택될 경우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입장 변화가 있을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올초 확률형 아이템 논란이 크게 일기도 했고, ‘트릭스터M’ ‘블소2’ 등 엔씨가 야심차게 내놓은 신작들이 확률형 아이템이 핵심인 리니지의 BM을 답습해 많은 이용자들로부터 질타를 받았기 때문이다.

블소2 초반 반응이 기대치에 미치지 않으면서 시가총액 5조 이상이 증발하기도 했다. 블소2 출시 직전 80만 원대였던 엔씨 주가는 출시 후 급락을 이어가며 17일 기준 58만 원대까지 추락했다.

그런 와중에 엔씨는 지난달 말 그동안 공시를 통해 공개해왔던 ‘아이템 판매 수익’을 올해 반기(1~6월) 보고서에서 비공개로 전환했다. ‘게임 서비스’와 ‘아이템 판매’를 ‘게임 매출’로 합쳐 아이템 매출을 비공개로 바꿨다. 김택진 대표가 확률형 아이템 문제로 국정감사 증인 명단에 자주 오르내리자 선제적으로 조치를 취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엔씨는 갑자기 아이템 매출을 비공개로 전환한 이유에 대해 “아이템 판매에는 확률형 아이템뿐만 아니라 확정형 아이템도 포함돼있어 오해를 없애기 위해 바로잡은 것”이라며 “다른 게임사들도 아이템 수익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 유동수 의원, 유정주 의원 등은 확률형 아이템 종류 및 공급 확률 정보 등에 관한 모든 내용을 공개하는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