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리뷰=금교영 기자] 국토교통부가 올해 하반기 공공임대, 공공분양,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7만5,000여 가구를 공급한다. 오는 12월까지 입주자 모집 계획을 발표하고 입주자를 모집한다.
3일 국토부는 올해 하반기(8~12월) 공공임대주택 등 공급물량 7만5,083가구의 공급 계획을 밝혔다. 공급물량은 작년 하반기(6만2,872가구)보다 약 1만2,000가구, 올해 상반기(7만114가구)보다 약 5,000가구 증가한 수치다.
세부적으로 공공임대 5만7,842가구, 공공분양(사전청약 제외) 1만2,315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 4,926가구 등이다. 정부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과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공공주택 등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대 공급해 나갈 예정이다.
공공임대주택은 서울 1만0,772가구를 포함한 수도권 3만1,809가구, 부산·대전·광주 등 비수도권에도 2만6,033가구를 공급한다. 수도권에 공급되는 30%는 행복주택으로, 시세 대비 60~80% 수준의 저렴한 가격으로 청년층 및 신혼부부 등에 공급된다.
공공분양주택은 수도권 8,324가구를 포함해 전국 1만2,315가구(사전청약 제외)에 대한 입주자를 모집한다. 이 중 3,401가구는 단지 내에 육아시설이 결합되고 통학길 특화 설계 및 층간소음 저감 설계가 적용된 신혼희망타운으로 공급된다.
또 정부는 일반 공공분양주택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되는 ‘공공자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3기 신도시와 2.4대책 사업지구 등에 부지확보(지구계획변경 등)를 추진하는 등 부담 가능한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보다 많은 국민이 더욱 쉽게 공공임대주택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간 복잡했던 공공임대주택 유형(영구·국민·행복)을 하나로 통합하고 소득기준도 완화한 ‘통합공공임대주택’을 내년부터 전면 도입(신규 사업승인 기준)할 예정이다.
통합공공임대주택은 중형평형(60~85㎡)을 도입하고 주요 마감재 품질을 분양주택 수준으로 높이며 단지 내에 국공립어린이집 등 생활SOC 등을 설치해 ‘살고 싶은 임대주택’ 공급을 목표로 한다.
오는 12월 중 입주자를 모집하는 과천 지식정보타운(605가구) 및 남양주 별내(576가구) 등 1,181가구 시범공급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신규 건설되는 모든 공공임대는 통합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김수상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은 “3080+ 주택공급 대책을 통해 도심 내 주택 공급을 지속 확대해 나가면서 다양한 주거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주택 및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도 안정적으로 공급해 나갈 예정”이라며 “공공임대주택을 분양주택 수준의 품질로 넓고 쾌적하게 공급하고 다양한 특화임대주택 등 수요자 맞춤형 공공주택도 지속 공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