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우주성 기자] 건설현장에 지능형 안전모가 등장했다. 그 동안 지적되어 왔던 건설현장의 안전성이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안전모  사진=쌍용건설
스마트 안전모 사진=쌍용건설

쌍용건설은 최근 현장에서 필수로 사용되는 안전모에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한 최첨단 안전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안전상태는 물론 위험 구역 출입 통제, 비상 시 SOS 신호 송출, 라이팅 웨어러블(Lighting Wearable) 기능과 근로자의 충격 및 쓰러짐 감지까지 가능하다. 안전모에 설치된 위치태그를 통해서는 현장 출입 시 작업자의 건강정보와 안전 교육이수 여부 등을 관제실에서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지하구간, 협소구간, 긴 연장구간 등에서의 잠재적 위험 요소를 파악해 사전 정보제공이 가능한 BLE MESH(저전력 블루투스망) 통신 환경 계측기와 AI 영상분석 기반 감지기 등도 현장에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온/습도는 물론 5대 가스(산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가연성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AI센서가 내장돼 기준치 이상의 유해가스 발생 시 자동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여기에 시공예정인 현장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VR(가상현실)을 제작해 향후 시공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시공성 향상은 물론 위험 공종에 대한 근로자 사전 안전교육에도 활용하고 있다.

앞서 쌍용건설은2016년부터 전국에 깔린 LTE망으로 4K 고화질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액션캠 LTE’를 안전모에 도입해 관리자가 멀리 떨어진 현장을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로 현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