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금교영 기자] 앞으로 무등록업자에게 불법하도급을 준 건설업체에도 ‘3진 아웃’을 적용해 시장에서 퇴출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안이 2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국무회의를 통과한 개정안은 대통령 재가를 거쳐 이달 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이번 개정안은 무등록업자에게 하도급하는 기업도 삼진아웃제를 적용해 건설시장에서 퇴출하도록 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현재 불법하도급(일괄, 동종, 재하도급)으로 처분을 받고 5년 이내 다시 2회 이상 위반하는 경우 건설업 등록말소(3진 아웃제) 하고 있다. 그러나 무등록업자에게 하도급하는 경우는 제외돼 있어 이를 3진 아웃대상에 포함하도록 했다.

또 발주자 승낙 없이 건설기술인 중복배치 시 처벌하는 규정을 명확히 했다. 

발주자의 승낙 없이 다른 현장에 건설기술인을 중복 배치한 경우 실질적으로 건설공사의 시공관리 등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건설기술인을 배치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건설사업자를 처벌하도록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해당사자 간의 혼란이 있어 이를 보다 명확히 규정해 건설현장 관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건설사업자가 의무 위반 시 영업정지를 대체해 부과하는 과징금의 상한액을 기존 1억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하는 방안도 담겼다. 계약금액 증가에 따라 영업정지 대체 과징금을 현실화 했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이나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 사유로 건설업 의무 교육을 이수할 수 없는 경우 유예기간을 정해 교육을 상황에 따라 유보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했다.

김근오 국토교통부 건설정책과 과장은 “무등록자 하도급 등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는 불법하도급을 근절해 건설공사를 적정하게 시공하고 건전한 건설시장이 확립돼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