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이소현 기자] 공공재개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서울 재개발 사업이 술렁이고 있다. 공공재개발 시범 사업지를 대상으로 26일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되지만, 규제가 무색하게 일대 주택은 이미 급등한 가격에 거래된 상태다. 아직 사업 추진이 확정되지 않은 다른 후보지들 또한 빌라값이 상승하고 매물이 품귀되는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10여년 제자리 걸음한 사업지도 "매물 없어요"

사진=이코노믹리뷰 이소현 기자
재개발 이주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 영등포구 양평12구역의 골목길. 사진=이코노믹리뷰 이소현 기자

서울 영등포구 재개발 사업지인 양평 13·14구역는 최근 호가가 급등한 가운데, 매물 또한 자취를 감췄다. 노후한 저층 주거시설과 준공업지역이 들어선 이곳 일대는 개발로 술렁이고 있다. 양평동 A공인중개사무소는 "지금 매매로 나온 물건은 없고, 최근에는 거래 계약 자체가 끊겼다"면서 "워낙 가격이 오르다보니, 시세랄 것도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앞서 15일 공공재개발 시범 사업지 8곳을 발표했다. 공공재개발 사업지로 선정되면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피할 수 있다. 용적률도 법정 상한치의  120%까지 완화하되 기부채납 비율은 20~50% 까지 낮아진다. 인허가 기간을 40개월에서 18개월로 단축된다. 사업성이 개선되는 만큼, 정비구역 해제를 앞둔 사업지를 중심으로 호응이 이어졌다.

이 가운데 양평 13·14구역도 공공재개발 사업지로 선정됐다. 기존에 이 구역은 지하철5호선 양평역과 맞닿은 역세권 사업장임에도 사업 추진 속도가 더뎠다. 바로 옆의 양평12구역은 현재 재개발 이주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 구역은 건물 노후도가 비교적 덜한 가운데 수익성도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양평14구역은 주민 동의율이 사업 추진 요건인 75%에 육박한 반면 양평 13구역의 경우 조합장이 공석이다. 2010년 조합 설립 인가를 받은 이후 정비구역해제가 추진되면서 내홍이 격화된 시기도 있었지만, 공공재개발 사업 참여로 개발 기대감이 커지며 이달초부터 투자 문의가 빗발쳤다. 

후보지 기대감에 빌라값 들썩

현재는 시장 과열을 방지하고자 정부가 토지거래허가제를 도입한 가운데 규제 이전에 이미 급등한 호가로 매매 거래가 체결된 상황이다. 허가제가 시행으로 이곳에서 거래되는 주거지역은 토지 면적이 18㎡을 초과할 경우 시군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양평동 B공인중개사무소 또한 "나오는 물건이 없다. 물건 나오는 게 집주인 마음에 달렸다보니, 일단 나오기만 하면 바로 나간다"면서 "집주인이 대지지분 3평짜리 월세낀 지하층을 배짱으로 8억원에 내놨다가 2억5000만원에 거래된 것이 마지막"이라고 밝혔다.

오는 3월말 공공재개발 시범 사업지가 추가 발표되는 가운데, 사업지 선정 기대감이 있는 곳들도 빌라와 단독주택 가격이 오르고 있다. 정부는 공공재개발 공모에 참여한 70곳 중 이번에 선정되지 못한 지역을 중심으로 심사를 다시 진행할 예정이다. 

뉴타운 사업이 멈췄던 성북구 장위동에서는 장위8·9·11·12구역이 잇따라 신청했고, 한남1구역과 성북1구역 등도 참여한 상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성북구 장위동의 1988년 준공된 노후 빌라 전용 35㎡는 이달 4일 4억2800만원에 손바뀜했다. 지난해 2월부터 9월까지 2억5000만원~2억7000만원선에 매매계약이 체결됐지만, 공공재개발에 참여한 이후 2억원 가까이 오른 것이다.

준공된 지 30년이 넘은 성북1구역 외곽의 단독주택 전용 39㎡ 또한 지난해말 6억2000만원에 매매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 2월 3억2500만원에 거래됐지만, 연말 들어 3억원 상당 집값이 올랐다. 성북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몇 달 전부터 문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면서 "매물은 많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