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신진영 기자] 월세비율이 늘어나 주거불안정성이 나날이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주거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분양업계는 말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행정구역별 주택점유형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 국민의 자가비율은 58%로 나타났다. 이외 42%는 각각 ▲전세 15.1%, ▲보증금 있는 월세 19.7%, ▲보증금 없는 월세 3.3%, ▲무상 3.9%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과 비교해 자가비율이 2.4%p(55.6%→58%) 증가할 때, 전세비율은 7.3%p(22.4%→15.1%) 하락했다. 반면 같은기간 월세비율은 5.8%p(17.2%→23%) 증가했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는 “월세 비중의 확대는 세대 분할과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볼 수 있지만 자가비율보다도 월세비율 증가폭이 두배가 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특히 전세비율의 하락과 월세비율의 증가는 2006년보다도 현재 주거불안정성이 더욱 높아졌다고도 해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의 주택 보급률은 104.2%다. 하지만 여전히 절반에 가까운 인구는 세입자들이며 5가구 중 1가구는 매번 월세를 걱정해야 하는 주거 불안정 가구이다.

세입자들의 주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임대차 2법이 시행된 지 세달이 지났다. 그러나 전·월세 가격이 폭등하면서 주거불안정성이 더욱 확대되면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도 이런 이유로 풀이된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기존 민간임대의 장점인 8년 거주 보장과 임대차 계약 갱신 시 2년 단위 임대 상승률 5% 인상 제한, 주변 시세 대비 90~95% 수준으로 공급된다. 여기에 주거지원계층은 주변 시세 대비 70~85% 수준으로 책정됐다.

이런 가운데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와 민간임대 단지들이 속속 분양에 나설 전망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 100-7번지 일원 부지 개발을 통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고척 아이파크’를 11월 분양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상 최고 45층, 6개동 규모의 주상복합 단지와 지상 최고 35층, 5개동 규모의 아파트로 구성된다.

대창기업은 같은달 충청남도 아산시 용화동 480-3번지 일대에 들어서는 ‘용화남산 포레시티 줌파크’를 공급한다. 8년 민간임대 아파트이다. 지하 3층~지상 24층, 9개동, 전용 74~84㎡ , 총 763가구로 구성된다.

12월 현대건설은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일원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인 ‘힐스테이트 봉담’을 분양한다. 이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5층, 11개동, 전용 62~84㎡ , 1004가구 규모의 아파트로 구성된다.

내년 2월 우미건설은 경기도 파주시 다율동 운정3지구 A15블록에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파주운정3 우미린 스테이’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8층, 전용 59~84㎡, 846가구 규모의 아파트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