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견다희 기자] 최근 두 달간의 자율 휴어기를 마친 고등어가 풍어를 맞았지만 계속된 소비감소 탓에 어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고등어가 미세머지의 ‘주범’ 격으로 지목된 이후 나타난 소비 감소가 좀처럼 중단되지 않는 데다 외국산 고등어가 시장을 잠식하면서 ‘이중고’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는 28일 지난달 고등어 생산량은 1만1736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8.2% 증가했다고 밝혔다.

1월부터 7월말까지 생산량도 평년보다 33.2% 증가했다. 300g 이상 중대형어 어획 비율도 50%를 넘어서는 등 고등어 어황이 개선됐다.

그러나 지난달 고등어 산지가격은 kg당 1543원으로 같은 달 기준 지난해의 53.9%, 평년의 43.9% 수준에 그쳤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달 고등어 생산량도 평년 수준 또는 이상으로 전망되지만 대형선망 선사들의 경영실적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2016년 고등어 생산 부진에 이어 올해 상반기까지 소형어 어획 비중이 높은 데다 최근 산지가격까지 폭락한 탓이다. 국산 고등어 생산이 소형어 중심인 데다 노르웨이산 고등어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수입산 고등어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대형선망선사들의 경영악화 요인이 되고 있다.

수산업관측센터는 가격 하락의 원인으로 생산량 증가뿐 아니라 폭염에 따른 유통 과정의 품질 저하, 그에 따른 소비 감소를 꼽았다.

지난달 고등어 소비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이상 감소한 9000여t에 그쳤다.

수산업관측센터는 2016년 고등어가 미세먼지의 원인으로 지목된 이후 급감한 고등어 소비가 회복이 쉽지 않다면서 수요 감소의 장기화를 점쳤다. 왜 고등어는 미세먼지 주범이라는 덤터기를 홀로 뒤집어 쓴 것은  밀폐된 실내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방환풍기를 꼭 사용하고 요리 후 창문을 열어 환기를 권장하기 위한 예시가 마치 ‘고등어구이=미세먼지 주범’처럼 보이게 됐기 때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조리 시 미세먼지는 고등어뿐만 아니라 삼겹살, 계란 프라이, 볶음밥 등 모두 발생한다”면서 “밀폐된 실내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는 반드시 환풍구를 사용하고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수산업관측센터는 업계 과당경쟁을 방지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어업 생산을 위한 수자원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 소형어 어획을 제한하는 등 업계의 자발적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어획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의 품질과 위생관리가 가능한 품질위생관리형 위판장, 산지거점유통센터 건립 등 정책적 지원 필요성도 강조했다.

수산업관측센터 관계자는 “업계의 체질 개선, 정부의 정책 지원과 함께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과 홍보전략 마련 등 소비촉진을 위한 시도가 더 많이 필요하다”면서 “소형 고등어의 해외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도 수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