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고영훈 기자]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7% 성장했다. 건설업과 설비투자가 감소로 전환한 반면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 대비 0.8% 감소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GDP는 전기 대비 0.7%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해선 2.9% 성장했다.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별로 보면 건설과 설비 투자가 감소로 전환했으나 소비와 수출이 증가세를 유지했다. 민간소비는 비내구재(화장품 등), 서비스(음식숙박 등)를 중심으로 0.3% 증가했다. 정부소비도 물건비 지출 등이 늘어 0.3% 상승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줄어 1.3%,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줄어 6.6% 각각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석탄과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0.8% 증가한 반면, 수입은 기계류, 운송장비 등이 줄어 2.6% 하락했다.

경제활동별 GDP를 살펴보면 건설업이 감소로 전환한 반면,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제조업은 석탄과 석유제품, 정밀기기 등을 중심으로 0.7% 성장했으며,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력, 가스와 온수 판매량 등이 늘어 9.7%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과 임대업 등은 줄었으나 도소매과 음식숙박업, 보건과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이 늘어 0.6% 늘었다.
농림어업은 농산물 생산이 줄어 2.5% 감소했으며,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줄어 2.3% 하락했다.

지출 항목별 성장 기여도를 살펴보면 내수가 -0.6%로 지난 1분기 1.2% 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소비지출 기여도는 0.2%, 투자(총고정자본형성)는 -0.8%였다. 소비지출 중 민간과 정부 기여도는 각각 0.2%, 0.1%였다. 투자 부문에서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기여도는 각각 -0.6%, -0.2%였으며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1.3%로 집계됐다.
또한 같은 기간 GDI는 전기 대비 0.8% 하락했다. 이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한 교역 조건 악화로 풀이된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이후 최저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