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견다희 기자] 국제유가 상승으로 국내 석유류 가격이 오르면서 공업제품·교통 물가까지 들썩이고 있다. 밥상물가를 끌어올린 채소값, 축산물은 다소 안정됐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5% 올랐다.

▲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국제유가 상승으로 국내 석유류 가격이 올라 공업제품·교통 물가까지 들썩이고 있다. 밥상물가를 끌어올린 채소값, 축산물은 다소 안정됐다. 출처= 통계청

지난해 7월에서 9월 2%대를 보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월 1%대(1.8%)에 진입해 9개월째 1%대를 이어가고 있다. 9개월 연속 2%를 밑돈 것은 2012년 11월에서 2016년 12월(4년 2개월) 후 처음이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에는 석유류 제품 가격 상승의 영향이 컸다. 석유류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0% 뛰며 전체 물가를 0.44% 포인트 끌어올렸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이번 오름폭은 지난해 4월(11.7%) 이후 14개월 만에 가장 컸다. 특히 경유는 12.3% 올라 역시 지난해 4월(14.1%)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석유류 가격 상승은 국제유가 상승 때문이다.

그 여파로 공업제품(1.8%)과 교통(4.1%) 물가도 많이 올랐다. 교통비 물가는 지난해 5월(4.5%) 이래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밥상물가 상승을 이끈 농·축·수산물 상승세는 다소 꺾였다. 농산물은 6.7% 올라 앞선 5월의 상승률 9.0%에 비해 둔화됐다. 채소류 가격은 6.4% 상승해 5월(13.5%)보다 오름폭이 크게 낮아졌다. 축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7.4% 내리며 전체 물가를 0.2%포인트 낮췄다.

농·축·수산물 물가지수 상승률은 1.8%로 올해 1월 –0.6%를 기록한 후 5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1년 전에 비해 달걀은 42.0%, 돼지고기 7.1%, 닭고기 12.7%, 수박 9.6%, 양파 14.9% 각각 하락했다. 특히 5월 가격 상승률이 59.1%를 기록한 감자는 출하량이 늘면서 6월 8.1%로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재고량이 부족한 쌀 가격은 1년 전보다 34.0% 올랐다. 지난해 11월(12.5%) 이후 8개월 째 두 자릿수 상승폭을 이어가고 있다.

생산량이 감소한 낙지 가격도 43.1% 올라 오름폭이 컸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2% 올랐다. 전월 상승폭 4.5%보다 둔화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 충격을 제외하고 장기 추세를 파악하기 위하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2% 올랐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감자 등 채소 가격 상승세가 둔화됐고 축산물, 달걀, 돼지고기, 닭고기 가격도 하락했다”면서 “다만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공업제품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