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오피스텔 몸값에도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수도권은 오르고 지방은 내린 것이다.
한국감정원은 올해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지난 분기 대비 0.52%, 전세가격은 0.37%, 월세가격은 0.03% 올랐다고 2일 밝혔다.
한국감정원은 1~2인 가구 증가로 오피스텔이 주택 대체제로 각광을 받으면서 올해부터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 동향을 조사했다. 대상지역은 서울시 와 6대 광역시, 세종시, 경기도 등 9개 시·도이다.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국에서 전 분기 대비 0.52% 상승했다. 교통 접근성과 생활여건이 우수한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이 전 분기 대비 0.72% 오르며 가격 상승을 견인한 결과다.
반면 지방은 지난 분기 대비 0.29% 하락하며 지역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지역별로 서울은 저금리로 인해 투자 대체제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올랐다. 특히 우이-신설 도시철도 개통 등 교통 호재와 신학기 학군 수요 등으로 전분기 대비 0.93% 상승했다. 경기도 역시 최근 개발사업과 교통 편의성 향상 등으로 오피스텔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난 분기 대비 0.55% 올랐다. 인천은 송도국제도시 근처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지난 분기 대비 0.23% 상승했다.
전세가격의 경우 신혼부부와 1~2인가구 실거주 수요 증가에 비해 임대인의 월세선호로 전세매물 부족해 지난 분기 대비 0.37% 증가했다.
서울은 임대인의 월세선호로 전세 물량은 제한적이지만 직주근접성이 좋은 지역 내 실거주 수요 증가로 전분기 대비 전세가격이 0.56% 올랐다. 경기도 역시 K-컬쳐밸리, 테크노밸리 등 각종 개발사업과 교통 개선 호재로 인구가 유입되면서 전세가격이 0.52% 상승했다. 인천은 인천지하철 연장검토, 신학기 이사수요로 인한 대학교 인근 오피스텔 전세가격 상승, 매매가격 상승에 따른 전세가 동반 상승 영향으로 지난 분기 대비 전세가격이 0.25% 올랐다. 반면 지방은 신규 오피스텔 과다 공급과 신축 다가구 및 소형 아파트 이주수요로 지난 분기 대비 0.25% 하락했다.
월세가격은 전국은 0.03% 상승, 수도권은 0.11% 증가, 지방은 0.32% 하락했다. 9개 지역 중 서울(0.14%), 경기(0.14%)는 상승했다. 반면 세종(-0.68%), 울산(-067%), 대구(-0.63%) 등은 하락했다.
매매평균가격은 전국이 1억7714만 원, 수도권이 1억9047만 원, 지방이 1억2139만 원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억2333만 원, 경기 1억6907만 원, 부산 1억3478만 원 순으로 집계됐다.
오피스텔 전세가격은 전국이 1억4115만 원, 수도권 1억5337만 원, 지방 90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역시 서울이 1억7564만 원, 경기 1억4311만 원, 부산 9776만 원 순이다.
특히 전국 오피스텔 수익률은 5.52%를 기록했으며 수도권 5.28%, 지방 6.53%, 서울 4.94%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광주 8.68%, 대전 7.26%, 대구 6.60%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시가 4.32%로 가장 낮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