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타트업이 통신사의 지원을 받아 중국 상하이에서 글로벌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투자를 유치한 업체도 속속 등장했다.
SK텔레콤은 29일 육성벤처인 와이젯과 이지벨이 중국의 2위 통신사인 차이나유니콤으로부터 각각 9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다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이들 업체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SK텔레콤이 지원하는 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드림벤처스타(이하 DVS)’ 2기 소속이다. 지난해 9월 DVS에 선발된 이래 10개월 간 SK텔레콤과 대전센터의 체계적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보유 기술의 사업화에 성공했다.
차이나유니콤은 협약식에서 와이젯과 이지벨의 앞선 기술력과 우수한 상품성, 높은 성공 가능성에 주목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와이젯의 ‘무선 무(無)지연 고속영상전달 솔루션’은 5Gbps급 무선 송수신기를 활용해 근거리에 위치한 기기들간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압축 없이도 대용량 데이터가 지연 없이 기기간 즉시 전달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스마트폰 화면을 TV로 옮기는 미러링 방식과 달리 와이젯의 솔루션은 두 화면을 개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게임을 즐길 때 스마트폰을 게임용 조이스틱으로 활용해 초고화질의 모바일 게임을 대화면 TV로 즐길 수 있다.
이지벨의 ‘3D 셀피(Selfie) 플랫폼’은 기존 고가의 3D 제작용 소프트웨어나 3D 스캐너 장비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1분 이내 UHD급 3D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솔루션이다. .
이를 활용하면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3D 모델 제작이 가능해 제조업은 물론 포장, 디자인, 헤어샵, 성형외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3D 모델 대중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차이나유니콤으로부터 투자 유치에 성공한 와이젯과 이지벨은 올 하반기 중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설 계획이다.
이지벨의 김종민 대표는 “중국 진출의 첫 발을 내딛게 돼 기쁘다”며 “연내 중국시장의 성공을 바탕으로 향후 세계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와이젯의 박철순 대표도 “SK텔레콤의 적극적 지원 속에 글로벌 시장 진출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설 수 있게 됐다“며 “이번 협약을 출발선으로 삼아 세계 시장으로 적극 도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부스에서는 협약식과 함께 SK텔레콤 육성벤처업체들의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는 ‘데모 데이(Demo Day)’ 행사가 펼쳐졌다.
행사에는 이지벨과 와이젯 외에도 ▲시리우스, 패밀리, 버드레터, 스탠다드에너지, 피닝, 플라즈맵, 스페클립스, 팝페이 등 DVS 2기 8개 업체 ▲라인어스, 비츠웰, 아키드로우, 래드손 등 SK텔레콤의 대표 벤처육성프로그램 ‘브라보!리스타트’ 소속 4개 업체 등 총 14개 업체가 참가해 자사가 개발한 다양한 제품 · 서비스를 선보였다.
한편 KT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국내 5G, IoT 분야의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스타트업들과 협력사의 MWC 2016 상하이 참여를 지원한다. KT와 경기센터는 이번 행사에서 스타트업과 협력사가 제품과 서비스를 전시해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중국 현지 업체들과의 사업협력을 위해 전문 통역사를 제공하는 등 스타트업의 글로벌 사업확장을 지원한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업체는 ‘스프링웨이브(SpringWave)’, ‘이에스엠랩(ESMLab)’, ‘미래엔씨티(MiscoNCT)’ 3개다. KT 협력사 및 경기센터 스타트업 중 기술력과 글로벌 사업성을 갖춘 곳으로 선발됐다. 이들 업체는 이번 MWC 상하이 2016에서 인도, 싱가포르, 중국 등 전세계 바이어 및 투자자들과 미팅을 갖고 사업협력과 제품 수출 등을 논의한다.
참여업체 중 KT 협력사인 스프링웨이브는 ‘시각동기화 통신장치’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2016년 한국의 국가안전망 시범사업에 적용 중이다. 모든 기지국 장비에 GPS 위성 안테나를 여러 대 설치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비에서 여러 대의 다른 장비에 인터넷망을 통해 시간정보를 전송해 동기화해주기 때문에 구축 비용을 기존보다 30% 이상 절감 할 수 있는 혁신적 제품이다.
경기센터 육성 스타트업중 하나인 미래엔씨티는 자체 개발한 IoT 센서를 통해 주차장 정보를 수집해 운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빈자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보여 관람객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번 MWC 상하이 2016 행사기간 동안 VC들을 상대로 사업 설명을 위한 미팅을 갖는 등 전시 참여를 계기로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경기센터 육성기업 이에스엠랩에서는 5G 시대에 활성화 될 대용량 컨텐츠 기술인 4차원 ‘타임슬라이스’ 솔루션을 활용헤 피겨스케이팅의 점프 동작을 관람객들에게 시연했다. 특히 행사기간 동안 상하이미디어그룹과 만나 사업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인도와 싱가포르 등의 새로운 글로벌 고객들과 활발한 글로벌 네트워킹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KT 창조경제추진단 김영명 단장은 “이번 MWC 2016 상하이에서는 KT와 사업화가 연계되거나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 제품을 전시하고 있다”며 “KT와 경기센터는 앞으로도 스타트업들이 해외전시를 통해 수출 및 투자유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