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학 거의 대부분이 올해 1학기 등록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앞서 협조를 요청한 결과로 보인다. 다만 대부분 대학이 인하가 아닌 동결을 택했다. 등록금이 충분히 저렴하지 않다는 여론이 압도적인 만큼 일정 부분 논란이 예상된다.

15일 대학알리미 사이트에 올라온 전국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1학기 등록금 심의위원회 회의록에 따르면 이달 12일 기준 등록금이 확정된 272개 대학(4년제 158곳, 전문대 114곳) 중 236개(86.8%) 대학이 등록금을 동결하고 33개 대학이 인하를 결정했다. 인상을 결정한 대학은 3곳이었다.

국공립대 41곳은 모두 등록금을 동결(35개교)하거나 인하(6개교)했다. 사립대 231곳 중에는 201개교가 동결을, 27개교가 인하했다. 인상을 결정한 3개 학교는 포스텍(포항공과대)과 중앙승가대, 조선간호대로 나타났다.

앞서 교육부는 올해 등록금 인상률 상한선을 1.7%로 제시하고 동결 또는 인하에 협조해 줄 것을 각 대학에 요청했다. 상당수 대학이 동결 또는 인하를 결정하면서 교육부 요청에 따랐다. 일부에서는 대학들이 가계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뜻을 같이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다만 인하보다는 동결을 결정한 대학이 대부분이었다. 한때 반값 등록금에 대한 요구가 빗발쳤다는 것을 감안하면 기대에 못 미친다. 여전히 등록금 액수가 큰 탓에 학부모와 학생들 다수가 부담을 느낀다. 그나마 학자금 대출과 분할 납부 등 자신의 상황에 맞춰 선택할 수 있는 각종 납부 제도를 잘 활용하면 그나마 부담을 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