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30일 국내 해운업계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사실상 끊겠다는 결정을 내리면서 현대상선·한진해운 등 해운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부채비율 400% 이하’를 달성할 때만 지원을 해준다는 정부의 정책이 사실상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채비율 400% 이하’ 기준, 충족 어렵다”
31일 해운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초기 12억달러(약 1조4000억원) 규모 선박펀드를 조성해 새로 배를 도입하는 해운업체들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해운사가 자구노력으로 '부채비율 400% 이하'를 달성할 때만 지원하겠다고 못박았다.
이에 대해 해운사들은 해당 기준을 충족시키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뜻을 내비쳤다.
실제 3분기 말 기준 한진해운의 부채비율은 687%, 현대상선의 부채비율은 979%다.
해운 업황 악화 추세가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단기간에 부채비율을 400% 이하로 낮추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그동안 자산매각 등을 통해 한진해운은 122.9%, 현대상선은 89.2%의 자구안 이행률을 기록했음에도 정부가 지나친 요구를 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번 선박펀드 조성계획이 사실상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국적 해운선사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뜻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말도 안 되는 처사···국적 해운 중요성 알아야”
해운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몇 년째 자구안을 요구해서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이 자구노력을 충실히 해왔는데 이제 와서 유동성 문제는 각자 알아서 하라고 하니 맥이 풀리는 느낌”이라고 털어놨다.
이어 “나름대로 고민해서 부채비율 400% 조건을 제시했겠지만, 그 과정에서 업계와 소통하거나 회의를 하지 않은 점은 안타깝다”며 “이렇게 서로 벽을 쌓고 해야 하는지 안타까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해운사에 대해 정부가 유동성 지원을 사실상 중단한 것을 말도 안 되는 처사”라며 “정부는 국적 해운이 왜 중요한지를 모르는 것 같다. 이러다 한국은 모든 수출과 물자 수입을 해외 해운에 맡겨야 할 지도 모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