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저성장 기조가 수년간 이어지면서 서민 체감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상황에서도 국회의원 10명 중 8명 이상은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재산 증식은 주로 건물과 토지 등 부동산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26일 공개한 2014년도 국회의원 재산변동 신고 내역에 따르면 의원 292명 가운데 81.8%인 239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인 2013년도 재산이 증가한 의원 비율인 64.5%보다 크게 오른 것이다.  재산 증식은 주로 부동산을 통해 이뤄졌다.

재산이 가장 많은 의원은 김세연 새누리당 의원으로 1443억 4390만원을 보유했다. 동일고무벨트 대주주인 김 의원은 주식 보유분이 많이 늘어났고 부동산 가격도 올라 재산 증가액이 457억 9370만원에 달했다. 안철수 새정치연합 의원은 안랩 유가증권(주식)을 공익재단에 기부하는 등 보유재산이 지난해 대비 반토막이 되면서 재산 보유액(787억 4930만원) 2위로 밀렸다. ‘부동산 갑부’인 박덕흠 새누리당 의원은 540억 9400만원으로 3위에 올랐다.

또한 중앙 지방정부 고위공직자를 망라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대상자(1천825명) 중에서는 66%인 1천212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들의 평균 재산은 12억9천2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9천400만원 늘었다.

고위 공직자 가운데는 해외 부동산 보유자도 다수였다. 국무조정실, 금융위원회 등 일부 기관의 공직자는 해외에 수억원에서 10억원대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 한 관계자는 "민간 재력가들이 새로 공직에 합류하고 부동산 가격이 올라 평균재산이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의원 의원의 37.3%에 해당하는 109명이 부모나 자식의 재산을 신고하지 않았다. 의원들이 직계 존·비속의 재산 고지를 꺼리는 이유는 이들의 재산을 합산해 신고하면 전체 재산 규모가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