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와 부산 등 지방 아파트 가격이 인천을 추월해 눈길을 끌고 있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 대구의 아파트 가구당 평균가격은 2억 4,463만원으로 서울(5억 3,086만원)과 경기(2억 9,230만원)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아파트 가격이 비싼 지역으로 등극했다.
반면 인천은 2억 3,707만원에 머무르며 부산(2억 4,411만원)과 세종(2억 3,784만원)에도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대도시들의 아파트 가격이 현재에 이르게 된 건 금융위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이후 침체에 빠진 수도권과 달리 지방 아파트 시장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신규아파트 수요로 인해 다수의 공급이 발생했으며, 기록적인 청약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 지방의 경우 신규공급이 적어 꾸준히 수요가 발생하며, 과포화된 수도권 시장을 벗어난 투자자들이 지방으로 점차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지방 아파트 가격상승을 이끈 주인공은 외부 투자자들도 있지만 우수학군을 겨냥한 내부수요도 큰 역할을 했다. 대구는 수성구 범어동 일대가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경신고나 대륜고, 경북고 등 지방 우수학교들이 포진해 있어,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설학원들이 밀집해 있다. 이 때문에 대구 외 경산이나 구미, 칠곡 등에서도 다수의 유입수요가 발생하기도 한다.
부산의 경우 전통적으로 우수학군지역인 동래구와 함께 해운대 신시가지 일대도 학령기 자녀를 둔 학부모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다. 울산은 남구 옥동 일대에 우수학교와 대형학원가들이 밀집해 있으며, 대전은 유성구 노은동과 반석동 일대에 학원가가 밀집해 있어 학부모 수요자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 및 경기와 함께 인천은 경제자유구역의 개발과 함께 한 단계 도약이 기대됐던 곳이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개발이 지연되고, 미분양이 발생하면서 아파트 시장은 침체됐고 결국 지방 대도시들에게 그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물론 송도의 경우 새로운 도시를 형성하며 인천 내에서 고급주거단지로 자리를 잡았지만 청라와 영종은 개발이 지연되며, 수요자들의 시선에서 점차 멀어지게 된 것이다.
하지만 단기간 많은 물량이 발생하며 공급초과가 우려된다. 그 동안은 내부 수요자 외에 외부 투자자들이 유입되면서 물량을 소화해줬지만 이제는 공급된 아파트들이 서서히 입주에 들어가면서 실 수요자들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015년 이후에는 지방 대도시들도 급등기를 벗어나 일정부분 안정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