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징수[源泉徵收] 원천징수란 소득금액 또는 수입금액을 지급할 때, 그 지급자가 지급받는 자가 부담할 세액을 미리 국가를 대신해 징수하는 것을 말한다. 원천징수는 징세의 편의 및 조세 수입·납세자 부담의 분산을 도모하며, 완납적 원천징수와 예납적 원천징수가 있다.
소득공제[所得控除] 소득공제란 소득세를 산정하면서 과세소득에서 미리 일정한 금액을 빼는 제도를 말한다. 소득공제의 종류로는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특별공제, 기타소득공제 등이 있고, 기본공제에는 본인·부양가족·배우자 공제, 추가공제는 경로우대·장애인·부녀자·자녀양육비·출산입양 공제가 있다.
사회보험[社會保險] 사회보험이란 국가의 책임하에 질병, 노령, 실업 등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일정 이상의 소득 보장을 위하여 국민이 보험에 가입하도록 강제한 사회보장제도의 일환이다.
환경세[環境稅] 환경세란 환경오염 행위에 부과하는 조세를 말하며 어떤 행위로 인해 직접적으로 발생된 환경오염 피해를 근거로 징수하는 조세를 뜻한다. 환경오염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정부의 정책 수단에는 직접개입, 간접개입, 직접규제, 시장에 맡기는 방법, 환경교육 및 홍보 등을 들 수 있다.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 사회간접자본이란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해 주는 자본의 하나로서, 도로·항만·공항·철도 등 교통시설과 전기·통신, 상하수도, 댐, 공업단지 등을 포함하고 범위를 더 넓히면 대기, 하천, 해수 등의 자연과 사법이나 교육 등의 사회제도까지를 포함한다.
간접세[間接稅] 간접세는 소비 행위 자체에 기준을 두고 부과하는 조세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부가가치세이다. 대체로 선진국에서는 직접세가 조세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저개발국에서는 간접세의 비율이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아직까지 간접세의 비중이 높아 조세 형평성의 문제가 지적되기도 한다.
효용[效用] 효용이란 인간의 욕망을 만족하게 하는 재화의 능력 또는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의 정도를 말한다. 효용은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경제재에 대한 한 개인의 평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효용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척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산업혁명[産業革命] 산업혁명이란 18세기 후반에서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영국을 농업적이고 소상품 생산 사회에서 세계 최초의 공장에 기초한 기계산업 사회로 전환한 일련의 경제적, 기술적, 사회적 변혁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대도시 사회, 거대한 인구성장, 광범하게 조직된 중간계급과 노동계급을 창출했다.
재정[財政] 재정이란 국가 및 기타 공공단체가 공공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을 조달하고 관리·사용하는 경제활동을 의미하며, 정부의 경제라고도 말한다. 모든 국가는 국방, 치안 유지, 교육, 국토 보존과 개발 등 경제성장의 촉진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입 조달과 경비 지출 과정이 재정이다.
한국조폐공사[韓國造幣公社] 한국조폐공사는 정부가 출자하는 정부투자기관으로 은행권을 비롯해 국채·수입인지·수입증지·수표·우표·여권, 각종 증권·채권 등 특수인쇄물과 일반주화를 비롯한 기념주화, 메달·훈장 등의 주조제품, 그리고 은행권 용지와 특수인쇄물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용지 등을 제조한다.
희소성[稀少性] 희소성이란 인간의 욕망에 비해 그것을 충족해 주는 수단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이 때문에 언제나 해결해야 할 경제문제가 생겨나기 마련이다. 즉, 한정된 소득·자본·자원을 가지고 최대의 만족·이윤·생산량을 올리려는 경제활동은 바로 이러한 희소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다.
세계화[世界化] 세계화란 세계 각 지역이 하나의 세계로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교통과 통신 수단의 발달로 인해 지구가 하나의 마을처럼 가까워지는 현상으로, 국가 간의 자본이나 노동, 서비스가 이동하고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시장처럼 통합되는 현상이다.
자유무역[自由貿易] 자유무역이란 민간업체에 의한 무역활동을 국가가 일체 간섭하지 않고 자유롭게 방임함으로써 국가의 무역관리 또는 통제가 가해지지 않는 무역이다.
레임덕[Lame-duck] 레임덕이란 정치 지도자의 집권 말기에 나타나는 지도력 공백 현상을 말한다. 레임(lame)은 ‘다리를 저는, 절름발이의’라는 뜻이며, 레임덕은 임기 만료를 앞둔 공직자의 통치력 저하를 절름발이 오리에 비유해서 일컫는 말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은 미국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비군사적인 우주개발을 모두 관할하고 종합적인 우주 계획을 추진한다. 임무는 항공 우주 활동 기획·지도·실시, 항공 우주 비행체를 이용한 과학적 측정과 관측 실시 및 준비, 정보의 홍보활동 등이다.
전송권[傳送權] 전송권은 저작물의 소유권자가 저작물 전송에 관해 갖는 권리이다. 2000년 1월 12일 저작권법이 개정되면서 새로 도입된 개념이다. PC 통신이나 인터넷 등 유·무선통신으로 미술, 영상, 사진, 음악 등 저작물을 보내는 것이며 홈페이지에 띄워 이용자들로 하여금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전송에 속한다.
성명표시권[姓名表示權] 성명표시권은 저작자가 자신이 그 저작물의 창작자임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 즉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 또는 저작물의 공표 매체에 그의 실명이나 이명을 표시할 권리를 말한다. 이용자는 저작권이나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가와 상관없이 창작자의 성명을 표시해야 한다.
리스폰스 광고 리스폰스 광고란 직접반응 광고라고 하며, 광고 대상자에게 직접 반응을 얻고자 하는 다이렉트 메일, 통신 판매용 광고 전단을 신문·잡지에 끼워 넣는 광고로 라디오·TV 등에도 이 광고가 등장한다.
경쟁전략[競爭戰略] 경쟁전략이란 기업의 판매작전 중 하나로 한정된 마케팅 속에서 자사의 시장점유율을 넓히기 위하여, 타사의 약점을 공격하여 경쟁 상대를 몰아내고 자사의 판매망을 넓혀 가는 시장전략을 말한다. 저성장시대가 계속되는 가운데 마케팅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이를 재검토하려는 기업이 늘고 있다.
해킹[Hacking] 해킹이란 컴퓨터의 시스템 혹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침입해 이들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재설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본래 해킹은 컴퓨터 시스템 혹은 프로그램의 문제를 고치기 위한 행위를 의미했지만 점차 해킹이 대중적으로 일어나면서 악질적인 의도를 갖고서 타인의 컴퓨터를 해킹하여 컴퓨터 사용자의 신용카드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범죄가날 로 늘고 있다.
본 기사는 아하경제신문 2014년 제 219호 기사입니다.
아하경제신문 바로가기(www.aha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