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잔치는 끝났을까.”

‘트리플 호재’라고 불리며 지난해 뜨거웠던 경기도 평택 부동산 시장이 지금은 ‘미분양 무덤’이 돼가고 있다. 지난 2016년 10월 청약 당시 최대 458.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가 나오는 등 ‘청약 대박’으로 불린 동탄2신도시 역시 지금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아파트 51채가 한꺼번에 경매시장에 등장하는 등 미입주 폭탄으로 인해 ‘역전세난’ 대표 단지라는 불명예가 따라붙게 됐다.

과거의 영광이 오히려 현재 발목을 잡은 케이스도 있다. 지금의 부동산 시장이 바로 그 경우다. 2014년 말부터 시작된 부동산 시장 호황은 무분별한 주택 공급을 시장에 쏟아내면서 결국 미분양·미입주 사태를 야기시켰다. 물론 여기엔 정부의 정책이 크게 한몫했다. ‘빚 내서 집 사라’는 시그널을 보내며 대출규제 완화부터 전매제한 완화 등 각종 규제는 느슨해졌었다. 그 결과 부메랑처럼 ‘미분양·미입주 포비아’는 고스란히 우리에게로 돌아왔다.

미분양의 증가는 건설경기 침체에 영향을 미치며 시장의 ‘미분양 공포’를 야기했다. 건설사들이 최근 주택부문에 대한 매출과 이익 의존도가 증가했지만 입주가 지연되거나 미입주현상이 벌어지면서 잔금회수가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에 앞서 IMF와 금융위기 등을 겪으면서 발생한 미분양으로 몇몇 건설사들이 휘청했던 기억 역시 공포감을 조성한다.

미분양으로 시작된 건설경기 침체가 건설업 부문 취업자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우세하다. 이는 경제성장률의 하락 압력으로 작용한다. 특히 중소·중견 건설사들은 현금 유동성도 떨어지고 대형사와의 수주전에서 밀릴 가능성이 커 이 상황을 타개할 만한 방법이 마땅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젠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와줘야 한다. 미분양·미입주 문제로 다시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써야 할까. 대다수 전문가는 이젠 다른 해결방안을 강구할 때라고 입을 모아 이야기하고 있다. 오히려 정부의 개입이 시장을 혼란시켜서 시차를 두고 왜곡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코노믹리뷰>는 미입주·미분양의 실태 파악과 함께 경제적인 영향을 알아보고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기 전에 새로운 해결방안을 제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