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양인정 기자] 보령시 대표 휴양시설 웨스토피아 리조트(법인명 대천리조트)의 매각이 가시화되고 있다. 리조트 인수가 무산될 것을 대비해 회원들도 차선책 준비에 나섰다.

6일 구조조정 업계와 파산법조계에 따르면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대천리조트의 인수를 위해 보령시가 경영 분석 용역에 착수했다. 보령시는 용역보고서의 결과를 지켜본 후 최종 인수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보고서의 결과가 나오는 동안 리조트의 채무규모와 계속기업가치 산출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보령시는 대천리조트의 주주다.

채권단의 채권신고가 마무리되면 리조트의 정확한 채무규모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대전지방법원은 지난 4월 30일 대천리조트에 대해 개시결정을 내리면서 채권신고기간을 이달 13일까지로 정했다. 

보령시는 용역 의뢰에 앞서 담보채권자들과 어느 정도 의견 교환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담보채권자들은 법정관리 기업이 수립한 회생계획안에 대해 사실상 가결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다른 주주들은 보령시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보령시를 비롯해 한국광해관리공단과 강원랜드가 대천리조트 리조트의 주주단이다. 

구조조정 업계는 광해관리공단과 강원랜드가 리조트의 인수전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광해관리공단이 부실덩어리인 광물자원공사와 합병이 예정돼 있고 강원랜드는 사업확장을 자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동일 주주로 구성된 동강시스타가 같은 이유로 SM그룹에 매각됐다. 

보령시 관계자는 "출자가 가능한 상황인지 확인하기 위해 공공정책 연구원인 HI정책연구원에 의뢰한 상황“이라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보령시 번영심의위원회에서 출자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령시가 출자를 결정하면 이를 반영한 회생계획안이 수립된다. 대천리조트의 회생계획 제출기간은 오는 8월 12일까지다. 

◇ 비대위 “외지인에게 매각하기 싫다”...자금마련에 고심

리조트의 회원권 채권자들도 분주하다. 회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혹시 모를 매각불발에 대비하고 있다. 

비대위는 보령의 상징성을 갖는 리조트가 보령시와 관계없는 제3자에게 매각되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 리조트가 보령의 역사적 유래와 궤를 같이 하고 있고 경제 본거지로서 기능도 적지 않아 외지인에게 매각하는 것을 지역정서가 허락하지 않고 있다는 게 그 이유다. 또 리조트 회원의 80%가 보령지역 주민이다.

비대위의 한 관계자는 “리조트가 여러 차례 M&A를 시도했으나 그 때마다 무산됐다"며 "만일 보령시가 인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고 그때부터 인수절차를 논의하면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비대위는 회원지주제 인수를 위한 법률자문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과정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금조달이 문제다.

리조트의 채무는 약 410억원으로 알려져 있다. 농협, 신한은행, 충청남도, 회원, 기타 상거래처가 리조트의 채권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가운데 농협과 신한은행이 약 230억원이 담보채권을, 회원들과 충청남도가 각 126억원과 50억원의 무담보채권을 가지고 있다. 

파산법조계 한 관계자는 “회생절차에서도 담보채권자의 원금은 대체로 보장된다”며 “비대위가 리조트를 인수하려면 담보채권자인 농협과 신한은행에 대해 갚을 수 있는 자금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적어도 200억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하다는 것.

회원들이 이 자금을 각출하는 방법도 거론되고 있으나 비대위 내에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회원들의 자금으로 인수를 완료한 후 회사의 자산 등을 담보로 리파이낸싱을 한다면 리조트의 재무구조가 취약해 질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 탓이다.

파산법조계는 보령시 인수와 회원지주제 인수가 모두 무산되면 법원이 리조트를 회생절차 공개 매각절차에 회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에 따르면 앞서 3곳의 기업들이 대천리조트의 인수에 관심을 보이며 회사 관계들과 접촉했다. 이들 기업의 관심은 현재 진행형이다. 

법무법인 정행(변호사 김정만, 이현식, 이한원, 허광)이 대천리조트의 신청대리인이다.

대천리조트 부지는 저탄장이 있던 곳이다. 보령지역은 약 2억3000만 톤에 달하는 무연탄이 매장돼 있어 지난 1948년부터 본격 개발됐다. 리조트는 정부의 폐광지역 대체산업의 일환으로 설립됐으나 공사 당시 자금부족으로 차입에 의존해 공사를 완성했다. 회사는 완공 이후 금융비용이 증가돼 운영난을 겪다 워크아웃을 거쳐 지난 4월 회생을 신청했다. 법정관리를 받았던 영월 동강시스타와 상황이 같다. 리조트에는 100개의 객실을 갖춘 콘도미니엄과 대중제 골프장(9홀), 레일바이크 체험장 등 시설이 갖춰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