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4일 파리 브롱냐르궁에서 열린 국경일 리셉션에서 축사를 하며 부산 엑스포 지지를 요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파리 브롱냐르궁에서 열린 국경일 리셉션에서 축사를 하며 부산 엑스포 지지를 요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30 엑스포 최종 개최지 선정 투표가 얼마 남지 않은 현재, 투표가 실시되는 프랑스 파리 현지는 긴장감에 휩싸여 있다. 최종 후보지가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의 로마의 3파전으로 좁혀진 가운데, 실질적으로 부산과 리야드의 대립 구도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한민국 정부와 재계, 부산광역시는 지난해 6월부터 엑스포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종 투표 당일인 28일까지 국제박람회기구(BIE) 회원국 정상들과 전화 통화를 하며 부산 지지에 대한 막판 설득에 나서기도 했다.

정부와 부산시가 이처럼 엑스포 유치에 ‘진심’인 이유는 유치 성공 시 상승하는 국제적 위상과 뒤따라오는 막대한 경제적 이익 때문이다.

이번 2030 엑스포는 5년 주기로 돌아오는 ‘등록 박람회’로 공인 엑스포 중 규모와 파급력이 가장 큰 엑스포다. 최대 6개월 동안 운영할 수 있으며, 전시 규모는 무제한이다. 주제 선정도 자유롭다. 대한민국은 아직까지 등록 박람회를 한 번도 개최하지 못했다. 1993년 대전 엑스포와 2012년 여수 엑스포는 그보다 한 단계 낮은 ‘인정 박람회’였다. 대한민국이 이번에 등록 박람회 개최에 성공한다면 ‘3대 국제행사’로 불리는 올림픽과 월드컵, 등록박람회를 모두 유치한 7번째 국가가 된다는 점 뜻깊다.

가장 최근의 등록 엑스포는 2010년의 상하이 엑스포와 2015년의 밀라노 엑스포가 있다. 상하이와 밀라노 둘 다 글로벌 주요 상업도시로 부각된 것처럼 이번 부산의 엑스포 유치 성공이 부산의 인지도 상승과 북항 일대 인프라 개발 사업, 동북아 해운 거점으로 나아가는 데 보탬이 되리란 관측이다.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엑스포 유치에 필요한 총 사업비는 4조8000억원으로 추산된다. 반면 생산 유발 효과는 43조원, 부가가치는 18조원으로 10배가 넘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2배 이상, 2002년 한일월드컵의 4배에 달하는 이익이다. 지난 2010년 역대 최다 관람객을 유치하는 데 성공한 상하이 엑스포는 벌어들인 이익이 110조원에 달했다.

부산시는 2030 등록 엑스포의 메인 주제를 ‘인간, 기술, 문화’로 설정하고 엑스포 관련 시설 56만평과 공원 등 지원시설 50만평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엑스포의 참가국은 160개국, 관람객은 5050만명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본다.

일자리 창출 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창조경제시대를 선도하는 ‘일자리도시’에 맞게 2030 부산 등록엑스포 유치과정 전후에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계획했다. 부산시가 발표한 ‘2030 부산 등록엑스포를 통한 일자리 창출 기대효과’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최우선 효과로 약 54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10년 상하이 엑스포는 192개국 참가, 관람객 7300만명을 동원했으며, 일자리만 63만개 창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최종 투표는 현지시간으로 오후 4시, 한국시간 29일 오전0시 이후에 실시된다. 투표에 앞서 한국시간 오후 10시 30분에 후보 3곳의 최종 프레젠테이션이 있을 예정이다. 최종 PT 연사로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나승연 부산엑스포 홍보대사, 박형준 부산시장까지 총 5명이 나선다.

현재 부산시는 부산 현지에서 시민응원단과 함께 문화공연, 투표 생중계 등 열띤 응원전을 펼치고 있다.

부산 현지에서 2030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시민 응원전이 펼쳐지고 있다. 사진=부산시 공식 유튜브 캡처
부산 현지에서 2030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시민 응원전이 펼쳐지고 있다. 사진=부산시 공식 유튜브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