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박기범 기자] 롯데쇼핑이 중국 사업부문을 철수했지만 관련 사업의 매각 대금 회수와 관련해 난항이 예상된다. 다만 최근 좋은 분위기의 회사채 시장은 23일 롯데쇼핑이 나서는 수요예측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오는 23일 총 2500억 원의 회사채 수요예측에 나선다. 3년물 1000억 원 5년물 1000억 원, 10년물 500억 원 규모로 각각 분할 발행될 예정이다.

▲ 롯데쇼핑CI 출처 - 홈페이지

금리는 민간 채권 평가 회사 수익률을 산술평균한 이자율에 -15bp에서+15bp를 차가감한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케이비증권, 미래에셋대우로 함께 기업실사에 참여했다. 롯데쇼핑은 조달한 자금을 전부 운영자금으로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외 사업, 대손충당금엔 '한숨' 수익성.. 재무구조 '악화'

지난해 롯데 쇼핑은 중국에서 마트 사업을 하던 △화북·화동 법인을 매각하고, △상해·북경·심양·중경 점포를 폐점함에 따라 지난해 9월 30일을 기준으로 롯데 쇼핑이 운영 중인 중국 점포는 없다.

부진했던 중국 마트 사업을 정리하며 관련 자산 매각에 따른 대금 회수는 여전히 골칫거리로 보인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미수금은 6330억 원으로 2017년 말 1549억 원에 비해 4780억 원 증가했다.

미수금이 4배가량 증가한 것에 대해 롯데쇼핑을 실사한 주관사 측은 "중국 할인점 부문의 매각을 진행함에 따라 수령하지 못한 매각대금이 미수금으로 분류됐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 롯데쇼핑 대손충당금 출처-DART

롯데쇼핑의 대손 충당금은 지난해 3분기말 기준 1435억 원으로 2017년 말 170억 원보다 1265억 원 증가했다. 대손 충당금의 89.1%는 미수금에서 발생을 했다.

어떤 채권이든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을 미리 반영하는 대손 충당금은 기업의 미회수 가능성을 재무제표에 선반영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롯데쇼핑의 미수금에 대한 대손 충당금 설정률은 21.8%로 2017년 말 8.4% 2016년 말 6.5%보다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설정률은 2017년 말보다 2.6배, 2016년 말보다는 3.35배 높아진 수치다. 

롯데쇼핑 측은 "북경 매각대금은 회수가 완료됐고, 화동 매각대금은 보증금을 제외하고 올 1분기 내로 회수할 계획"이라며 "남은 대금도 12개월, 18개월 단위로 회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17일 한국신용평가는 지난해 3분기 말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조정 순차입 규모는 3.8조 원으로 2017년 말 2.6조 원보다 1.2조 원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외 부분 합산 순차입금이 2017년 말 4.1조에서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4.9조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연된 매입채무 결제분(약 5000억 원) 및 중국마트 철수로 인한 홍콩홀딩스 관련 재무적 지원(약 6120억 원)이 있었지만 중국마트 폐점관련 비용, 미회수 보증금 등으로 해외부문 순차입규모는 약 3000억 감소에 그쳤다.

이에 따라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해외부문 합산 후 조정순차입금 대비 EBITDA는 2017년 말 4.4배에서 4.7배로 증가했다.

EBITDA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한국신용평가는 별도+해외부문(백화점, 대형마트)기준 '조정순차입금 대비 EBITDA'지표가 4배를 넘기는 것을 등급 하향 요인으로 꼽고 있다.

AA+, 부정적 전망에도 웃을 수 있는 이유

17일 한국신용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는 롯데쇼핑의 신용등급은 AA+이고 등급 전망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업황 전망, 재무구조, 자금조달 능력 등을 종합해 판단할 때 등급 전망은 부정적이지만 AA+ 등 높은 신용등급을 선호하는 회사채 시장 분위기는 위안거리다.  

▲ 최근 AA+ 등급 회사채 발행 실적 출처 - DART

최근 6개월간 AA+등급의 회사채 공모 발행조건은 지난해 11월 SK의 5년 만기 회사채를 제외하면 전부 가격이 1bp~15bp까지 상승했다.

채권 시장의 양극화가 커지며 우량한 AA+ 등급은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발행 시점이 연말이 아닌 연초인 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등도 호재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