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원이 13일(현지시간) 틱톡이 6개월 내 미국 사업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앱 유통을 금지시키는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킨 가운데 현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가치가 1500억달러에 달하는 거대 플랫폼 틱톡을 인수할 자본력을 갖춘 곳이 거의 없는데다, 빅테크들도 시장 독과점 우려로 인수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미 하원의 틱톡 금지법을 두고 노골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터트리는 등 대외상황도 심상치않다.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미국의 집요한 틱톡 쪼개기

중국 바이트댄스가 출시한 틱톡은 글로벌 SNS로 급성장을 거듭, 북미에서도 MZ 세대를 중심으로 강력한 존재감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덩치가 커질수록 강한 견제도 받기 시작했다. 바이든 행정부 당시 틱톡을 분할하는 소위 틱톡 쪼개기가 부상한 바 있으며, 최근 미 하원이 통과시킨 틱톡 금지법도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틱톡 퇴출의 핵심 키워드는 유해 콘텐츠 및 데이터 유출이 거론된다.

먼저 유해 콘텐츠 측면에서는 악질적인 챌린지가 유행하며 청소년들이 부적절한 영상을 시청하거나 또는 업로드하는 일이 문제가 됐다. 나아가 중국 기업인 틱톡을 통해 공산당의 콘텐츠가 청소년들에게 여과없이 공개되고 있다는 문제제기도 나온 바 있다. 다만 틱톡 스스로 스크린 타임 제도를 공개하며 논란 진화에 나섰으며, 이 과정에서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정도 관련 잡음은 잡혔다는 평가다. SNS를 통한 유해 콘텐츠 이슈는 비단 틱톡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데이터 유출과 관련해서는 논란이 상당하다. 틱톡이 서구권에서 인기를 끌며 현지인들의 개인정보를 유용, 이를 중국 당국에 넘기고 있다는 주장이다. 마이클 매콜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이 틱톡을 두고 논란이 됐던 중국 정찰 풍선에 빗대어 "모바일 정찰 풍선"이라고 맹폭한 이유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6개월? 가능할까?
미 하원이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킨 가운데, 미 상원도 큰 문제가 없다면 이를 전격 통과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바이트댄스는 6개월 내 틱톡을 매각해야 북미에서 서비스를 이어갈 수 있다.

문제는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이 1500억달러나 되는 초대형 플랫폼 매각으로는 지나치게 짧다는 점이다. 워싱턴포스트는 "1500억달러나 되는 가격은 인수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이라며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전 대표인 바비 코틱 등이 틱톡 인수에 관심이 많지만 이들이 실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미국과 유럽의 합작 투자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아직은 말 그대로 가능성일 뿐이다.

한편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의 인수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이 역시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평가다. 막대한 인수자금도 문제지만 시장 독과점 문제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구글이 세기의 반독점 소송에 휘말린데다 '빅테크 저승사자' 리나 칸 미 FTC 의장도 서슬퍼런 눈을 치켜뜨고 있다. 미국 빅테크들이 선뜻 틱톡 인수에 나서기 어려운 이유다.

중국의 강력한 반발도 부담이다. 당장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틱톡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면서 "미국이 틱톡을 억압하고 있다" 그는 이어 미 의회의 틱톡 금지법을 두고 '괴롭힘'이라 정의한 후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 활동을 방해하고 투자 환경에 대한 국제 투자자의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하고 지적했다.

논란의 행간은?

서구권에서 벌어지는 틱톡 퇴출은 미중 패권전쟁 및 미묘한 국제정치의 연장선에 있다. 물론 틱톡 자체만의 이슈도 있다. 불건전 콘텐츠에 대한 논란은 세밀하게 짚어볼 필요가 있다는 평가다. 

다만 그 보다는 중국 ICT 기업 틱톡의 영향력이 서구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에 대한 불안감, 나아가 관세와 반도체를 넘어 ICT 및 자동차와 배터리 등 기술집약적 산업 전반에 번지는 두 슈퍼파워의 충돌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화웨이와 오버랩된다. 백도어 논란에 휘말렸으나 단 하나의 명확한 증거도 없었던 상황에서 미중 패권전쟁의 희생양이 된 바 있다. 업계에서 아직 예단할 수 없지만 틱톡 이슈에 대한 객관적이고 명확한 접근을 필요로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