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서울 시내에 설치되어 있는 시중은행들의 현금인출기. 사진=연합뉴스
오전 서울 시내에 설치되어 있는 시중은행들의 현금인출기. 사진=연합뉴스

은행권이 2조원에 달하는 민생금융 지원 규모를 공개하면서 금융당국이 제시한 상생금융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은 총 1조5251억원 규모의 민생금융 지원 방안을 시행한다. 이는 은행권이 지난달 21일 발표한 ‘2조원+α’ 규모의 상생금융 후속 조치다. 나머지 은행도 상생안을 최종 정비해 내놓을 예정이다.

KB국민은행은 전날 소상공인 이자 환급 등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 프로그램에 3721억원을 쓴다고 밝혔다. 은행권이 각 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에 따라 지원 규모를 배분하기로 함에 따라, 당기순이익 1위인 KB국민은행이 가장 많은 액수를 부담하게 됐다.

지난해 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국내 18개 은행은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상생금융)’을 시행하기로 금융당국과 합의했다.

은행별 분담 비용은 지난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연으로 환산한 2023년 추정 순이익의 10% 수준에서 결정했다. 당국은 최근 국민경제가 어려운 가운데 은행의 순이익이 급증하면서 은행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행 요구가 커진 점을 고려해 은행의 건전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순이익을 배분 기준으로 정했다.

이를 토대로 18개 은행의 분담 비용을 추산하면 ▲KB국민은행 3721억원 ▲하나은행 3557억원 ▲신한은행 3067억원 ▲우리은행 2761억원 ▲NH농협은행 2147억원 등 5대 은행의 민생금융 지원 액수가 1조5251억원에 달한다. 은행권 총 지원 규모 2조원의 약 76%를 차지하는 액수다. 

이외 ▲기업은행 2518억원  ▲부산은행 525억원 ▲대구은행 444억원 ▲SC제일은행 409억원 ▲카카오뱅크 372억원 ▲씨티은행 336억원 ▲경남은행 307억원 ▲수협은행 290억원 ▲광주은행 284억원 ▲전북은행 180억원 ▲케이뱅크 50억원 ▲제주은행 17억원 순으로 많다. 지방은행은 총 1800억원을, SC제일은행과 씨티은행 등 외국계은행은 700억원가량을 상생금융에 쓸 예정이다. 단 토스뱅크는 아직 연간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회사의 자발적 지원에 맡기기로 했다. 

이자 환급 대상은 지난해 12월20일 기준 각 은행에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부동산 임대업 제외)이다. 은행은 대상자가 연 4%를 초과해 낸 이자의 90%를 현금으로 돌려준다.

5대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 차주(대출받은 사람) 32만명, 신한은행 26만명, 하나은행 30만명, 우리은행 20만명, NH농협은행 32만명 등 총 140만명가량이 이자 환급을 받게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자 환급 대상자는 은행이 자체 선정하므로 차주가 따로 신청할 필요는 없다.

은행들은 공통으로 1조 6000억원가량을 이자 캐시백에 사용한다. 대상은 지난해 12월 20일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을 보유한 차주로 대출금 2억원 한도 내에서 연 4%가 넘는 이자 납부액의 90%를 1년간 최대 300만원까지 돌려준다. 1인당 평균 환급액은 85만원으로 추산했다. 

나머지 4000억원 규모는 은행별로 각시 수립하는 자율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키로 했다.

하나은행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에너지 생활비 지원과 가맹점 통신비, 경영컨설팅비 지원 등에 3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청년에게 학자금 대출 이자를 되돌려주고 보증기관 출연 확대, 서민금융상품 금리 인하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농협은행 등은 세부 지원 방안을 1분기 중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