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전국에서 전세금과 집값의 방향이 엇갈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부진한 주택 매매값과 달리 전세 보증금은 또 꿈틀댈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전세난에 대한 공포를 학습한 실수요자들이 발빠르게 전셋집 구하기에 나서고 있어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종대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 대표는 2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4년 부동산 시장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고금리와 프로젝트 파이낸싱(PF∙부동산 대출의 일종) 자금 조달 어려움 등으로 인해 내년에 전국의 집값이 올해보다 1.5%가량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종대 주산연 대표가 22일에 열린 내년 부동산 시장 전망 간담회에서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서종대 주산연 대표가 22일에 열린 내년 부동산 시장 전망 간담회에서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다만 내년 상반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를 내리면 대출 금리가 떨어져 수요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인기가 있는 곳에서부터 집값이 강보합세로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다.

주산연 측은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지방에서 각각 0.3%, 3%씩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전셋값은 전국을 기준으로 올해와 비교해 2.7%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도권에서 5% 오르며 상승세를 이끄는 가운데 서울이 4% 오를 것으로 추정했다.

주산연 관계자는 “이런 집값과 전세금 간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은 집값의 하락기에 종종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목돈이 필요한 사람들이 집값이 떨어지니 집을 안 사는 대신에 전세를 구하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에 따르면 주택 시장의 디커플링 현상을 나타내는 지표는 ‘전세가율’이다. 전세가율은 집값 대비 전셋값의 비율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집값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수요자들이 대출을 당겨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거나 이른바 ‘무자본 갭 투기(자본금 없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들이는 것)를 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기 마련이라서다.

KB부동산의 11월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1.6%를 기록했다. 앞서 7월에 50.9%까지 내려간 이후부터 4개월 연속으로 전셋값이 상승하고 있다. 최근의 추세와 같이 디커플링 현상이 계속되면 내년에도 전세가율이 당분간 오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서울을 기준으로 전세가율이 60%가 넘으면 집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3분기(7~9월)를 기준으로 관악구(60.4%)와 중랑구(62.1%), 금천구(62.6%)를 제외한 전 지역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60%를 밑돈다. 쉽게 말해 전세를 끼고 집을 사기 부담스러운 지역이라는 뜻이다.

지역별로는 같은 기간 용산구가 40.7%로 전세가율이 가장 낮게 집계됐다. 이어 강남구(42.8%)와 서초구(46.6%), 송파구(47.4%) 순으로 이른바 ‘강남3구’로 불리는 지역의 전세가율이 낮다. 또 다른 상급지로 분류되는 ‘마용성’ 가운데 성동구는 49.4%를 기록해 50%를 밑돌았다.

반면 고급 단독 주택 단지를 제외하면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편에 속하는 성북구는 59.3%로 기준선인 60%에 근접했다. 이어 강북구(59.0%)와 은평구(58.0%), 중구(57.6%), 구로구(57.3%), 동대문구(56.9%) 등의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