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내리나?

- 한국은행 기준금리 내릴지 여부에 시장 관심 모아져

- 시장에서는 원화값 강세 등을 고려 금리 인하 기대, 그러나 한은 내부에서는 유지에 다소 우세

- 대내외 경제 상황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는 분석, 경제 상황이 개선되는 시점에 금리 인하 카드 부담스러운 분위기

- `2013년 경제 전망` 자료에서 시장 전망보다 비관적이기 때문에 깜짝 금리 인하도 가능

- 한은 관계자는 올해 경제 전망이 아주 비관적이지 않으면 1월 금리인하는 시기상조

- 시장에서는 김중수 한은 총재의 올해 신년사에 주목,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명목 GDP 목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발언에 관심

- 시장에서도 장단기 금리 역전, 원화가치 절상 속도 늦추기 위해 금리 인하 필요하다는 다수 의견

- 외환선물 전문가도 원화 절상 과도하게 전개될 가능성에 대응 필요하다며 기준금리 인하에 무게

- 하지만 반대의견도 많아, 단기 외국 투자금 유입을 막기 위해선 금리 인하보다 자본 유출입 규제가 훨씬 효과적이라고 설명

- 한은은 금리 변경 외에도 지급준비율이나 총액한도대출 등을 조정하면서 통화정책을 펼 수 있지만 아직 내부적으로는 연구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한국 노동생산성 `뚝뚝`

- 우리나라 노동생산성 하락세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에서 두 번째로 높아

- 한국 노동생산성 지난해 3붕기 같은 해 2분기 대비 0.4% 떨어져

- 글로벌 금융위기로 -0.8% 노동생산성 상승률을 보인 2008년 이후 처음으로 노동생산성이 하락세를 보인 셈

- 노동생산성 금융위기 수준으로 추락 원인은 분자인 GDP 둔화, 지난해 3분기 GDP의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0.1%로 같은 해 1분기(0.9%)와 2분기(0.3%)를 밑돌아

- 전문가들 “유로존 위기와 미국 경기 침체에 따라 대기업 중심 수출이 꾸준히 이뤄진 만큼 내수가 활성화되지 못했다"며 "수출뿐 아니라 내수까지 고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

- 제조업보다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서비스업에 노동 투입이 몰리고 있다는 점도 노동생산성 하락에 한몫

- 성장률 둔화로 제조업에서 퇴출당한 인력들이 생산성이 떨어지는 서비스 업종으로 몰렸기 때문

 

2~4개 중견건설사 구조조정 대상으로 거론

- 경기 침체 장기화로 중견 건설회사 2~4곳이 올해 추가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듯

- 5년째 불황에 빠진 건설·조선·해운업은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이미 올해 고전 업종으로 지목, 구조조정 겪을 것으로 관측

- 시공능력순위 30위권 내에 포함된 7~8개 건설사들이 올해 회사채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채권 만기로 자금 압박

- 유동성 위험에 노출된 8곳 중에서 7곳은 건설경기 침체가 올해도 지속되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등 구조조정 상황에 처할 수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 이미 시공능력순위 100개 건설사들 중 21개사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추진

- 시멘트업계도 추가 구조조정 대상이 나올 수 있다는 분석

- 현대시멘트가 현재 워크아웃 중이며 동양레미콘은 동양그룹 전체가 구조조정에 나서

- 해운과 조선업종도 추가 구조조정 대상이 나올까 노심초사

- 대한해운과 STX팬오션은 이미 매각 절차, 한진해운, 현대상선도 실적 부진과 자금조달의 어려움

- 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건설 등 침체 업종에서 추가로 워크아웃 등 대상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적지 않아 산업계 전체가 위축되고 있다"고 지적

 

글로벌 경기침체 속 '보역무역주의' 강화

- 세계무역기구(WTO)에 접수된 국가간 무역분쟁 건수가 10년 만에 최대를 기록

- 글로벌 경기침체와 맞물려 각국이 '보호무역'을 강화

- 작년 WTO 분쟁 건수는 모두 27건으로 전년도 8건에 비해 3배 이상 늘어

- 가장 대표적인 보호무역 수단인 반덤핑 관세의 경우 작년 상반기에만 110건의 조사개시와 74건의 부과

- 상계관세 부과 건수도 19건으로 상반기 수치로만 2002년 이래 최대치

- 반덤핑•상계관세와 같은 무역구제조치는 경기후행적 성격을 띨 수밖에 없어 앞으로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

- 철강•석유화학 등 장치산업을 중심으로 보호무역 움직임을 경계해야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연간 67조…소비자만 '새우등' 터져

- 카드사들, 대형 가맹점 무이자 할부 전격 중단, 카드 가맹점들 무이자 할부에 들어가는 마케팅 비용 부담 거부

- 가맹점들이 계속해서 무이자할부 수수료 분담에 나서지 않을 경우 카드사들은 자체적으로 무이자할부 혜택을 담은 카드를 만드는 등 고객 차별화 마케팅에 나설 것으로 전망

- 실제로 카드사들은 대형 가맹점이 수수료를 분담하는 제휴카드나 무이자 할부 탑재 카드를 통해 서비스에 나설 계획

- 대형 할인점, 항공사들도 일부 금액을 초과하는 고객에 한해선 무이자 할부 수수료를 부담하게 될 것으로 보여

- 금융감독당국 관계자는 “현재의 상황은 카드사와 가맹점간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 “당분간 카드사와 가맹점간의 갈등이 계속될 수 있겠지만 곧 원만한 합의점을 찾게 될 것”이라고 설명

- 현재 카드사들이 대형 할인점과 항공사, 통신사 등에 제공한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이용실적은 연간 67조원 규모

- 2011년에는 66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3.6% 늘어, 전체 카드 결제 중 무이자 할부가 차지하는 비중 증가, 2011년에는 전체 86조원 중 77.8%를 차지

 

조선일보

 

LG그룹, 올해 사상 최대 20조 투자…시장선도 주력

- LG그룹이 올해 사상 최대 규모인 20조원의 투자를 단행

- 투자실적 추정치(16조8000억원) 대비 19.1% 증가한 20조원을 투자하기로

- 주력사업 및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에 대한 ‘적기투자’로 시장선도를 위한 기반시설 신·증설에 나선다고 밝혀

- 투자 내역은 시설 부문에 14조원, 연구개발(R&D) 부문에 6조원을 각각 투자할 계획

- 사업부문별로는 전자(13조4000억원), 화학(3조5000억원), 통신·서비스(3조1000억원)

- 특히 R&D 부문 지난해(5조원) 대비 20% 증가한 6조원 투자, 전기부문은 울트라 HDTV, 올레드TV, 스마트TV 제품 차별화 기술 개발 등에 역량을 집중

- 화학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고품질 LCD, 혁신신약 개발과 바이오 의약품 연구 집중투자

- 통신은 모바일서비스, 스마트그린솔루션, 스마트 교통, LTE를 기반으로 인터넷 전화, IPTV 역량 확대 초점

 

금융위 "고령화 대응해 증권업 등 금융산업 구조조정 시급"

- 인구고령화로 인한 금융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인구고령화에 따른 금융수요 변화에 대응해 고령자 대상의 금융상품을 개발하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금융산업의 구조개편을 추진 주장

- 미국 등 선진국에서 인구 고령화로 인해 가계의 금융자산 구조가 안전자산 중심으로 바뀌면서 예전 같은 증권시장 호황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며 위에 같이 주장

-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증권시장이 빠르게 회복하지 못한 주요 원인으로 고령화, 주식투자비중은 감소했지만 예금 채권 등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비중은 증가

-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저축인구 비중과 주가수익률(PER)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등 미국과 유사한 모습

- 우리나라 인구고령화로 인해 저축 여력인구 비중은 2000년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세

- 금융위기 이후 PER 상승도 외국인투자 자금 유입이 주요 원인

 

옥석 갈린 지방소주...무학 2위 넘볼 만큼 약진

- 소주 시장 성숙기, 중위권 소주 점유율 일제히 하락

- 특히 하이트진로 지방영업 강화하면서 지방소주 업체들 위기감 높아져

- 더욱이 미국, 칠레, 유럽연합과 자유무역협정으로 수입산 와인, 맥주 가격 낮아지면서 소주 시장의 성장세 주춤

- 지방 소주사 경쟁력 약화도 한 몫, 지방 소주사 시장 성장할 때 연구개발투자 운영비 절감 소흘, 연예인 광고에만 신경써

- 무학의 경우 지방소주임에도 불구 시장 점유율 확대, 신제품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적극적인 시장 확대 전략

 

중앙일보

 

새해 예산안 총수입 전망 '주먹구구'…'최대 10조 덜 걷힐 수도'

- 총수입이 예상보다 최대 10조원 가량 덜 걷힐 수 있다는 지적

- 매년 예산을 쓰지 않고 남는 불용액이 평균 5조원 범위를 훌쩍 넘어서는 규모

- 새해 예산안에서 기업은행·산업은행 지분 매각 금액을 지난해의 4배 정도로 늘려잡고, 최근의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을 국세수입 전망에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 2013년 예산 최종안에서 기업은행(5조1000억원)과 산업은행(2조6000억원) 매각에 따른 세외 수입이 총 7조7000억원으로 책정

- 그러나 기은과 산은의 지분 매각이 실현될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아, 산은의 경우 새 정부 출범으로 기존의 민영화 계획이 일정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 조차도 불투명

- 총 수입의 60%를 차지하는 국세 수입(216조4000억원)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0%에서 3.0%로 하향 조정했음에도 조정되지 않아

- 재정부 성장률 둔화에 따른 세수 감소 요인보다 세법 개정으로 인한 세수 증가 요인이 더 클 것이라는 주장

-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낮아지면 세수는 약 2조원 감소

- 대선 공약 이행을 위한 복지 지출을 삭감할 수는 없는 상황

- 총수입이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에서 총지출을 줄이기 어렵고 총수입 감소액이 불용액마저 크게 웃돈다면 재정수지는 악화 예상

 

이름값 못하는 `종신보험`

- 젊을 때부터 가입해 사망할 때까지 보장하는 종신보험의 중도 해약자가 크게 늘어

- 대형 생보사에서 종신보험에 가입한 뒤 2년 내 해지한 비율이 평균 43%에 달해

-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보험료 부담을 느끼는 사람이 많은 탓

- 일각에선 생명보험사 간 판매 경쟁 때문에 불완전 판매가 많았던 게 아니냐는 지적도

- 종신보험을 중도에 해지해도 보험사가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어서 굳이 해약을 막지 않는 측면도

- 종신보험 가입자가 중도 해지하면 환급액이 매우 적은 편

- 2년간 꼬박꼬박 보험료를 납입한 뒤 해약하면 7~8개월치만 받고 나머지는 설계사 수당 등 사업비로 떼인 셈

- 종신보험 대신 정기보험을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 정기보험의 경우 일정 기간만 보장하기 때문에 보험료가 종신보험 대비 20~30% 수준에 불과

- 보험료가 비싼 종신보험 대신 정기보험과 연금에 나눠 가입하는 실속형 소비자가 늘어나는 추세

- 최근 종신보험도 진화, 경제활동 시기엔 사망 보장을 받다가 퇴직 후 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상품이 주종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391억 `사상 최대`

-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규모는 391억달러로 2011년 297억달러에 비해 32% 증가

- 주요국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확대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상승이 맞물린 덕분

- 한국물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자금 조달 조건도 개선

- 미국 국채 대비 발행금리 격차(5년물 기준)는 작년 초 300bp(1bp=0.01%포인트)에서 연말께 130bp로 좁혀져

- 만기 구조도 장기화, 작년 발행된 공모채의 평균 만기 6년6개월로 2011년보다 1년 늘어

- 발행 통화는 달러화 표시 발행 채권이 233억달러로 전체의 60%를 차지, 엔화 표시 채권 비중은 19%에서 13%로 감소

- 삼성전자 한국물 사상 최저인 연 1.75% 금리로 10억달러 규모의 5년 만기 외화채권을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