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늄 원석.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연합뉴스
우라늄 원석.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연합뉴스

중국이 이달부터 이차전지 산업 필수소재인 흑연 수출 통제를 본격화했다. 이번에는 핵 원료인 우라늄까지 사재기하고 있어 글로벌 광물 공급망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이달 1일부터 흑연에 대한 수출통제를 시행하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2중 용도(군용) 여부를 심사해 수출허가증을 발급하고 있다.

흑연은 국내 이차전지 산업 필수소재다. 현재 90% 이상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수입액 기준 중국 의존도는 천연흑연은 94.4%, 인조흑연은 93.0% 수준으로 집계됐다. 올해 1∼9월 기준으로는 천연흑연 97.7%, 인조 흑연이 94.3%다.

정부는 중국이 지난 10월 흑연 수출 통제 방침을 발표하자 민관합동 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업계는 수출통제 시행 이전부터 재고를 확대해 업체별로 3~5개월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업계와 함께 인조흑연 생산공장 조기 증설을 위한 신속 인허가를 추진 중이다. 지난해까지 소부장 협력모델로 인조흑연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해 내년 상반기에는 본격 생산에 돌인할 예정이다.

또 흑연 보유국인 탄자니아 등 제3국을 통해 천연흑연 원소재를 수입해 국내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흑연을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을 넣은 차세대 음극재 생산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흑연 수출통제 강화에 이어 최근 우라늄 확보 쟁탈전에도 뛰어들었다. 우라늄은 원자력발전소 핵원료의 원료다. 국내는 현재 우라늄의 34%를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들여오고 있다. 우라늄 가격이 치솟게 되면 서방 및 한국 에너지 공급망 위협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중국국영우라늄공사(CNUC)와 중국종합원자력그룹의 자회사가 니제르, 나미비아, 카자흐스탄의 우라늄 광산의 지분을 이미 매입했다. CNUC는 카자흐스탄과 인접한 신장에 우라늄 거래 허브를 목표로 저장고를 건설 중이다.

앞서 중국은 원자력 원료 자급자족을 목표로 우라늄 수요의 3분의 1은 국내, 3분의 1은 해외 광산 투자, 나머지 3분의 1은 글로벌 시장에서 구매해 충당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지난해 석유 가격 급등 이후 세계 각국 정부가 신규 원자로 건설과 기존 원자력발전소 수명 연장을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우랴늄 수요는 계속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중동 산유국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도 미국과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등 22개국이 2050년까지 세계 원자력 에너지 발전 용량을 2020년 대비 3배로 늘리기 위해 협력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처럼 우라늄 수요가 늘어나자 우라늄 가격은 최근 파운드(약 0.45㎏)당 81달러(한화 약 10만6000원)에 거래되는 등 2007년 이후 최고 가격을 기록했다. 외신에 따르면 우라늄 가격이 파운드 당 80달러를 넘어선 것은 15년 만에 처음이다. 올해 들어 우라늄 가격 상승률은 70%에 달했다.

업계에서는 내년 우라늄 가격이 파운드당 100달러(약 13만1000원)를 넘길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이 해외 반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경우 국내 에너지 공급망도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우라늄을 싹슬이하고 있어 주요 국가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며 “핵심 광물자원 수출통제가 계속해서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독립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