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행정에 접목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늘고 있다. ‘한국 ESG평가원’에 따르면, ESG행정에 가장 앞서가는 광역 지자체는 경기도, 기초 지자체는 화성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ESG평가원은 17개 광역 지자체와 226개 시군구 기초 지자체의 ESG 행정과 정책이 현재 어떤 수준에 와 있는지를 알아보는 ‘2023년 정례 지자체 ESG평가’를 실시해 7일 발표했다.

평가 결과 광역 지자체 중에는 경기도가 A등급으로 가장 뛰어났고, 이어 전라남도, 제주도, 충청북도 등이 B+등급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서울특별시와 세종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등은 B등급으로 평균 수준의 양호한 등급을 받았다.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등은 C+등급 이하의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기초 지자체 평가에서는 화성시가 A+등급으로 1위였다 이어 수원시, 안양시, 남해군, 담양군, 신안군, 영광군 등이 A등급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또한 서울의 영등포구와 강동구, 부산 기장군, 광주 광산구, 대전 유성구, 그리고 경기도의 하남시, 시흥시, 이천시, 안성시, 구리시 등이 B+의 우수한 등급을 받았다.

이밖에 강원도의 인제군 등 3곳, 경남의 하동군 등 7곳, 경북의 청송군 등 2곳, 전남의 화순군 등 7곳, 전북의 무주군 등 3곳, 충남의 당진군 등 5곳, 충북의 제천시 등 2곳이 B+ 점수를 받았다.

한국ESG평가원은 설득력 있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K-SDGs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지자체 평가모형을 사용했다. K-SDGs는 유엔이 2015년 발표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반해 우리나라가 2018년 수립한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다. 현재 17개 목표체계, 119개 세부 목표, 236개 지표로 구성돼 있다. ESG가 추구하는 목표와 지표를 총망라한다고 볼 수 있다.

손종원 한국ESG평가원 대표는 “2023년 지방자치단체 ESG 정기평가를 보면 ESG 행정에 나서기 시작했으나, 성과는 아직 미흡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며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나눠서 본 결과 사회 부문이 평균 ‘C+’로 가장 부진했는데, 이는 사회 부문의 다양한 행정 서비스가 각 팀과 부서별로 나뉘어 이뤄지다 보니 ESG 행정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통일성과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손 대표는 이어 “이번 정기평가 결과ESG 행정의 계획과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 과정을 총괄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A등급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최고 등급

ESG 평가 결과 경기도가 광역 지자체 중 유일하게 가장 높은 A등급을 받았다. 경기도는 평균점수 72.5점이었으며 환경 부문에서 A+, 지배구조 부문에서 S등급을 받았다. 재정자립도, 주민참여예산, 민원서비스 등 지배구조 부문에서 최고점을 기록했다. 환경 부문에서도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사회 부문에서는 공공복지, 고령화 사회대응, 불평등 해소, 교육 등의 항목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B+등급을 받은 3곳 가운데 충청북도의 평균 점수는 68.5점이었다. 고용 등 사회 부문이 A등급으로 양호하고 지배구조 부문도 A등급이었다. 반면에 생활폐기물 처리, 에너지 사용량 등 환경 부문에서 B등급으로 평균치를 낮췄다.

전라남도는 지배구조 부문에서 S등급으로 높았다. 반면에 보육시설이나 지역 안전등급 등 사회 부문에서 평가 점수가 B+로 낮아졌으며, 전력 등 에너지 사용량과 관련한 환경 부문에서 가장 미흡한 B등급으로 전체 평균점수는 67.5점이었다.

제주도의 평균점수는 65점. 지배구조 부문에서 A+로 높았다. 사회 부문은 사회복지예산비율과 보육시설수 등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해 B+를 받았다. 지역총생산(GRDP) 대비 탄소배출량과 물사용량 등의 점수가 낮아 환경 부문에서 B등급에 그쳤다.

경기 화성시 A+등급으로 최고…수원·신안·담양 등 A등급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가운데 ESG 행정이 가장 뛰어난 곳은 유일하게 A+등급을 받은 경기도 화성시였다. 화성시는 올해 내에 인구 1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A+)과 지배구조(S)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사회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B+)에도 불구하고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A등급을 받은 곳은 총 6곳이었다. 경기 수원시와 안양시, 전남 신안군·담양군·영광군, 경남 남해군이 그 주인공들이었다. 그 밖에 B+등급이 39곳, B등급이 105곳, C+등급이 56곳, C등급이 19곳으로 집계됐다.

다도해의 중심이자 해상 풍력 발전이 많은 신안군은 사회와 환경 부문에서 강점을 보였다. 다만 민원서비스와 청렴도 부문에서는 감점이 많았다. 전남 담양군은 지배구조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지역총생산 대비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및 물 사용량 등에서 약세를 보였다.

12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해 광역시급인 수원시는 환경과 지배구조 부문에서 강점을 보였다. 반면에 고령화 대응, 불평등 해소, 교육 등에서 점수가 낮았다. 경기 안양시도 수원시와 비슷하게 사회부문의 낮은 점수에도 불구하고 지배구조와 환경 부문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A등급을 받은 6곳 중 하나인 경남 남해군은 인구증가, 복지예산, 의료 등 사회 부문에서 약점을 보였다. 그렇지만 환경 및 지배구조 부문의 점수가 높아 공동 4위의 저력을 보였다.

지자체 평가 방법…ESG 지표평가 70%, 정책평가 30% 배분

한국ESG평가원의 지자체 평가모형은 지표평가와 정책평가로 구성됐다. 평가 비중은 지표평가가 70%, 정책평가가 30%다.

지표평가는 환경(E). 사회 책임(S), 지배구조(G)의 각 부문으로 구분해 전략목표와 세부 목표를 설정했다. 그런 다음 각각의 목표 달성 여부를 구체적인 측정 지표를 선정해 평가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환경 부문의 전략 목표는 ▲기후변화 대응 및 관리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건강하고 안전한 물 관리 ▲생태계 보전 등 4가지다.

세부 목표로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대기오염 저감 노력, 폐기물 재활용 노력, 청정에너지 공급 증대, 에너지 절약과 효율 향상, 수자원의 효율적 사용, 해양과 육상의 생태계 보전 등을 설정하고 14개의 측정 지표를 적용했다.

사회 부문의 전략 목표는 ▲저출산 및 인구 감소 대응 ▲고용 확대와 경제 성장 ▲공공 복지 ▲고령화 사회 대응 ▲불평등 해소 ▲교육 등 6가지다.

세부 목표로는 출산율 제고, 다양한 육아 지원 노력, 인구 확대 노력, 양질의 일자리 창출, 신규투자 유치, 근로자 만족도 제고,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노인 복지 확대, 성평등 보장,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등을 제시하고 23개의 측정 지표를 사용했다.

지배구조 부문의 전략 목표와 세부 목표는 ▲건전한 지방 재정 ▲민주적인 의사 결정 ▲청렴도 제고 등 총 3가지였다. 여기에는 4개의 측정 지표를 적용했다.

정책 평가는 ESG 추진 노력 등을 설문과 자체 조사를 통해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여기에는 ▲ESG 전담조직 존재 여부 ▲ESG 관련 교육 시행 여부 ▲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구성 여부 ▲지속가능발전 기본 조례 제정 여부 등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