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제조설비가 가동되고 있다. 사진=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서 제조설비가 가동되고 있다. 사진= 포스코케미칼

중국 정부가 이달부터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흑연의 수출 통제를 시작한 데 대해 일본 기업들이 "당장은 영향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공급망 다변화에는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10월 20일 자국 기업이 배터리 제조에 쓰이는 고순도 천연 흑연을 수출할 때 12월부터 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관련 규정을 강화했다.

이같은 수출 통제 명분은 군사용도로 쓰일 가능성에 대비하자는 취지지만, 미·중 첨단산업 분쟁 속 미국 측의 각종 수출통제에 대한 보복성 조치란 해석도 나왔다.

이에 우리 정부는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포스코퓨처엠 등 관련 업계와 흑연 수급 상황과 전망을 논의하고 탄자니아·모잠비크 등 흑연 매장국으로의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일본 역시 한국과 비슷한 입장인 것으로 풀이된다.  

2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도요타자동차, 혼다, 미쓰비시자동차 등 일본 자동차 업체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는 GS유아사는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에 따른 영향이 당분간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이 업체는 수출 통제가 엄격해지거나 장기화하는 상황 등에 대비해 흑연을 안정적으로 조달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GS유아사 관계자는 마이니치신문에 "배터리 제조업체가 홀로 대응하기는 어렵다"며 "자동차 업체, 정부 등과 협력해 수입처 다각화를 포함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닛산자동차도 전기차 배터리에 중국산 흑연을 사용하고 있으나, 수출 통제가 생산에 영향을 주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닛산은 거래처에 흑연 재고량을 늘리고, 중국이 아닌 수입처를 확보해 달라고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미쓰비시케미컬은 아프리카 모잠비크에서 흑연을 가공하는 호주 업체와 협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전했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와 관련해 "국제 규범에 비춰 부당한 조치가 있다면 적절하게 대응하고자 한다"며 "영향은 정밀히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이전까지 수입 흑연의 약 90%를 중국산에 의존해 왔다. 한국은 지난해 기준 이차전지 제조용 흑연 수입액 2억4100만달러(약 3300억원)어치 가운데 93.7%가 중국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