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비상하고 있다. 강력한 경쟁자인 중국 거래소 바이낸스가 휘청이며 반사이익을 얻는 한편 ETF 등 다양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여세를 몰아 한국 시장에서도 두각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메릭 갈랜드 미 법무장관이 바이낸스의 위법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메릭 갈랜드 미 법무장관이 바이낸스의 위법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바이낸스의 위기
미국 재무부와 법무부는 21일(현지시간) 바이낸스가 은행보안법(BS)과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 위반 등의 혐의를 인정, 약 43억달러 상당의 벌금을 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바이낸스가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벌금을 낸 기업으로 역사에 남는 순간이다. 메릭 갈랜드 미 법무장관은 "바이낸스가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수히 많은 범죄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43억달러의 벌금은 유례가 없는 일"이라 평가했다.

바이낸스가 받고있는 혐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고질적인 '돈 세탁 사각지대'가 문제다. 미 재무부의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FinCEN)를 바탕으로 자금세탁방지제도(AML)를 원만하게 운용해야 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이낸스를 통해 이슬람국가 및 각종 테러단체에 자금이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미 재무부에 따르면 당국의 제재를 위반한 암호화폐 거래는 총 166만여건, 금액으로는 7억달러에 달한다.

창업자 창펑 자오 CEO는 결국 물러났다. 그는 X를 통해 "내 실수이니 책임질 것"이라며 "미국의 프레임워크에 따라 모든 사업을 재편할 예정"이라 말했다. 나아가 바이낸스는 미국 내 모든 사업에서 철수한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의 나스닥 상장. 사진=연합뉴스
코인베이스의 나스닥 상장. 사진=연합뉴스

코인베이스 뜬다
바이낸스를 둘러싼 논란은 일단락되고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업계에서는 바이낸스가 천문학적인 벌금을 낸 것은 일종의 '거래'이며, 오히려 이를 기점으로 바이낸스가 최악의 위기는 모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법적 처벌은 피할 수 없겠지만 바이낸스가 벌금을 내며 미 당국과 '합의'를 했기에 그 이상의 여진은 최소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창펑 자오 CEO는 물러났으나 후임 CEO로 낙점된 리처드 텅 바이낸스 지역시장총괄은 오랫동안 차기 CEO로 회자딜 정도로 '준비된 인사'로 평가된다. 싱가포르 금융감독청에서 근무한 경력을 가진 그는 규제와 컴플라이언스(법규준수) 관련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 흔들리는 바이낸스를 바로잡기에 제격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긴 호흡으로 볼 때 바이낸스 비즈니스 자체는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번 사태로 많은 투자자들이 '탈'바이낸스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43억달러의 벌금을 낸 당일 무려 5000개의 비트코인이 인출됐다. 패닉에 빠진 개인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일종의 '뱅크런'과 비슷한 사태가 벌어진 셈이다.

그 반사이익을 코인베이스가 톡톡히 누리고 있다. 중국 거래소인 바이낸스에서 미국 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규제에 더 안전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바이낸스에서 5000개의 비트코인이 빠져나가던 날 코인베이스에는 1만2000개의 새로운 비트코인이 유입됐다. 이를 바탕으로 '만년 2위'인 코인베이스가 '부동의 1위'였던 바이낸스를 밀어낼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최근 번지고 있는 '중국계 거래소 위기론'도 이러한 흐름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가상자산이 달러 중심의 '기축통화 패러다임'을 흔드는 현재, 미중 패권전쟁의 연장선에서 미 당국의 중국 가상자산 시장 압박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중국계 거래소인 후오비 글로벌도 최근 해킹공격을 받으며 미 규제당국의 '의심'을 받는 중이다.

한때 큰 인기를 누리던 탈 중앙화 거래소들도 존재감을 확보하지 못하는 가운데 중국계 거래소에 쏟아지는 압박, 중국계 거래소 위기, 바이낸스 후폭풍 등으로 미국 거래소인 코인베이스 로드맵에는 드라이브가 걸릴 전망이다.

물론 코인베이스가 완전한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것은 아니다. 지난 7월 미 당국은 바이낸스와 더불어 코인베이스의 위법 행위를 공개적으로 지적한 바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안전한 거래소'라는 평가를 듣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미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 기업이라는 상징성이 선명하다.

사진=갈무리
사진=갈무리

한국서도 드라이브 걸릴까
코인베이스의 존재감은 한국 시장에서도 커지고 있다. 바이낸스 등 중국계 거래소에 대한 압박이 커지며 미국 거래소에 대한 한국의 관심 자체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도 코인베이스에 투자했다. 가상자산과 거리를 두고 있으나 최근 CBDC 등 블록체인 전반의 기초체력을 키우는 가운데 코인베이스를 전격적으로 픽했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코인베이스 주식 28만2673주(약 0.15%)를 획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변동성 등을 이유로 가상자산 시장과 거리를 두던 한국은행이 이례적인 선택을 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 만큼 가상자산의 대중성이 커지는 한편 코인베이스의 한국 내 존재감이 강해졌다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물론 바이낸스도 한칼이 있다. 고팍스라는 연결고리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월부터 고팍스의 최대주주로 활동하는 가운데 전(前) 바이낸스 아시아태평양 대표였던 레온 싱 풍이 고팍스 CEO로 부임한 상태다. 비록 구조조정 등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으나 고팍스는 위믹스 생태계와의 접점을 만드는 한편, 대관인력을 보강하면서 이르면 연말 세 번째 가상자산사업자(VASP) 변경신고를 시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