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9월 조기 편입이 재차 무산됐다. 사진 =  FTSE Russel.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9월 조기 편입이 재차 무산됐다. 사진 =  FTSE Russel.

우리나라가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조기 편입이 불발됐다.

WGBI를 관리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28일(현지시간) 9월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를 발표하며 한국에 대한 기존의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했다. 즉, 세계국채지수 편입을 유보한다는 의미다.

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즈 글로벌 종합지수(Bloomberg-Barclays Global Aggregative Index: BBGA) 및 JP Morgan 신흥국 국채지수(Government Bond Index-Emerging Markets: GBI-EM) 등과 함께 세계 3대 채권지수로 꼽힌다. 

추종 자금은 글로벌 패시브 펀드와 일부 액티브 펀드, 일본계 연기금 등을 포함해 2조5000억 달러로 추산된다. 추종자금의 규모 및 구성 종목의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대표적인 채권부문 선진국 지수로 알려져 있다. 현재 WGBI는 주요 선진국 및 중국, 멕시코, 말레이시아 등 총 23개국 국채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국별 지수 비중은 해당국 국채 시가총액 비중에 따라 결정된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 통상 3월과 9월 WGBI 편입 여부를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FTSE 러셀은 "한국 시장 당국은 시장 구조와 자본 시장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며 "향후에도 시장 참여자들과 제도 개선의 진행 상황 및 효과를 점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WGBI 편입을 위한 당국의 제도 개선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향후 이행 상황 등은 좀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우리나라는 전임 문재인 정부 후반기부터 WGBI 편입을 추진해왔다. 윤석열 정부 첫해인 지난해 세법개정안에서는 외국인(비거주자)이나 외국 법인이 우리나라 국채에서 지급받는 이자·양도소득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외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 국제 예탁결제기구와 국채 통합계좌 개통 추진, 외국금융기관의 국내 외환시장 참여 허용 등 국채시장 접근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도 내놨다.

이 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지난해 9월 FTSE의 관찰 대상국 목록에 올랐다. 그러나 지난 3월에 이어 이번에도 지수 편입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관찰대상국등재 이후 최종 편입까지는 통상 2년가량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 9월께 편입이 예상된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국 가운데 WGBI에 편입되지 않은 나라는 한국과 인도뿐이다. 우리나라 국채가 WGBI에 편입되면 지수를 추종하는 외국계 자금이 국채 시장에 유입되고 국채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WGBI 등 주요 벤치마크 지수에 편입된 주요 해외사례의 경우 지수편입 이후 자본유입 확대와 더불어 국채시장 수익률 및 환율 등에 걸쳐 다양한 경제적 영향이 관찰된다"고 밝힌바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지수편입에 따른 자본유입 확대 및 국채 수익률 하락 등 경제적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채권가격 및 환율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특히 신흥국의 경우 WGBI 등 주요 국채 지수편입은 해당국 자본유입 확대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게 자본시장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시장에서는 WGBI 편입으로 인해 90조원가량이 국내 채권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수편입에 따른 자금유입 확대는 국내 외환시장 부문에서도 통화절상 방향으로의 영향을 미칠 것이란 시각이 대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