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산업부]
[사진=산업부]

국내 실정에 맞춘 탄소중립 도입을 위해 정부와 산업계가 손을 잡았다. 기준이 까다로운 RE100 대신 무탄소 에너지(Carbon Free Energy‧CFE) 정책으로 무역 장벽을 넘겠다는 목표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이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와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7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CFE 포럼’을 구성하고 출범식을 진행했다고 당일 밝혔다. CFE 포럼은 한국형 무탄소 에너지 인증제도 마련과 국제확산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RE100으로 재생에너지 환경이 좋은 나라 기업보다 국내 기업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산업계에 따르면 RE100은 민간의 자발적인 캠페인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국제적인 무역장벽으로 작용한다. 실제 유럽연합(EU)이나 북미 등지에서 환경기준을 높여 RE100을 달성하지 못한 기업은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제적으로 높은 RE100 기준을 완화한 CF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도 지난 2021년 연방정부 시설 사용전력 100%를 무탄소 전력 달성 시기를 2030년까지로 결정한 바 있다.

이번 포럼에는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포스코 등 국내 주요 에너지 수요기업 ▲업종별 협‧단체 ▲발전사 공기업과 GS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등 에너지 민간기업 등 참여한다. CFE 포럼은 대한상의를 중심으로 내부 운영기구 정비를 통해 오는 7월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수요기업과 발전사, 주요기업 및 학‧연 관계자가 모여 매월 주요 의제를 정해 1~2회 이상 포럼이 운영된다.

산업부에 따르면 CFE 포럼은 우리 현실에 맞는 무탄소 에너지 인증체계를 미리 검토하고 향후 국제기준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내 무탄소 에너지 인증제도 도입 방안을 마련하고, 내년에는 시범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동시에 정부와 기업이 가진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무탄소 에너지 확산을 위한 국제적인 공감대 형성 노력도 병행한다.

국내 재생에너지 여건이 RE100 보다 CFE에 적합한 것도 포럼 개설 이유다. RE100 달성을 위해서는 풍력, 태양광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해야 해 바람과 일조량이 풍부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와 반대다.

또 우리나라는 EU나 북미와 달리 전력계통이 고립돼 있어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 확대에 제약이 있다. 지난해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 발전 비용이 미국의 3배, 영국의 2배에 이른다.

이창양 장관은 개회사에서 “RE100은 의미 있는 캠페인이나 우리 여건상 기업에 큰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라며 “무탄소 에너지 개념을 활용한 포괄적 접근을 통해 우리 현실에 맞는 정책과 제도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