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기업의 질문]

“모 경제지에 저희 회사와 관련 해 오보가 났습니다. 대표 이하 모든 임원분들이 다 패닉에 빠지셨습니다. 홍보실에서 그 기사를 쓴 기자와 데스크를 만나 설명도 해보고 했는데, 기사 수정도 불가능합니다. 이걸 어떻게 해야 할까요?”

[컨설턴트의 답변]

질문에서 해당 기사를 ‘오보’라고 지칭하셨는데, 그 기사를 오보라고 정의하신 기준이 무엇인지가 먼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특정 기사에 대해 오보라 정의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사에서 다룬 내용이 실제 팩트와 전혀 다르거나 틀린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거나, 전혀 근거가 없거나 심지어 허위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 경우 기업에서는 홍보실을 통해 기자에게 실제 정확한 팩트와 공식 정보를 제시하거나, 기업측에서 보유한 실제 근거나 기사의 허위를 증명할 정보를 공유해 해명하곤 합니다. 그 정당한 해명을 접한 기자는 자신의 기사를 수정합니다. 누가 보아도 오보인 경우 그 기사를 그대로 싣고 있으면 이는 언론사에게도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상당수 기업이 오보라 정의할 때에 주관적 관점이 그 기준이 되니 문제입니다. 우리가 볼 때에 ‘그 기사가 정확하지 않다’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팩트, 정보, 근거가 기준이 아니라, 기업측 의견, 관점, 표현의 뉘앙스 등을 기준으로 해 기자의 기사를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지요.

그 경우 홍보실이 아무리 해명해도 기자는 그것을 주관적 주장으로만 해석합니다. 일부 기자는 홍보실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정확하지 않은 지 또는 틀린 것인지 규정해 보라 요청하기도 합니다. 그에 대한 실제 팩트나 정보, 근거를 제시해 달라고 합니다. 기자 요청에 기업 홍보실이 응할 수 있는 재료가 궁한 경우 더 이상의 대응은 불가능 해 집니다.

기업측에서는 기사 내용에 대해 기자가 편향적이다. 쟁점에 대한 이해를 잘 못했다. 내용을 정확하게 모르고 썼다. 의도적으로 정보를 취사선택했다. 악의를 가지고 썼다. 완전히 틀린 기사라서 소설이라고 반박합니다.

그러나, 그런 반박에 정확한 근거가 없으면 그 반박은 기자가 편향적으로 ‘보인다’. 쟁점에 대한 이해를 잘못한 것 ‘같다’. 내용을 정확하게 모르고 쓴 것 ‘같다’. 의도적으로 정보를 취사 선택한 것 ‘같다’. 악의를 가지고 쓴 것 ‘같다’. 완전히 틀린 기사라 소설 같아 ‘보인다’는 느낌만을 기반으로 한 단순 주장으로 밖에 해석되지 않습니다.

이후 해명이 받아들여 지지 않는다고 해서 언론중재위나 소송까지 가더라도 해석, 관점의 차이 또는 느낌에 기반한 주장으로는 상대 기자를 이길 수 없습니다. 대부분 기업 관련 부정 기사들이 그러한 회색지대에 있기 때문에, 해명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수정 조차 어렵습니다.

오보 대응에 있어 가장 첫 단계는 자사가 정확하게 해당 기사를 반박할 수 있는 재료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혹시 단순 해석이나 관점의 차이는 아닌지 까지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해당 기사를 오보라 정의하려면 그것이 오보일 수밖에 없는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만약 그런 전제와 살핌이 없다면 해당 기사를 오보라 부르는 것은 전략적이지 않습니다. 언제나 정치적 해결을 위한 여지는 남겨 놓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정치적 해결을 위해서는 상호간 감정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