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기업의 질문]

“한 매체 기자가 저희 오너분에게 전화를 해 왔습니다. 최근 불거진 복잡한 개인 관련 논란에 대해 인터뷰를 요청했나 봅니다. 오너께서 인터뷰를 거절하자, 기자가 떳떳하면 왜 인터뷰를 거부하냐고 했다는 군요. 그와 관련해서 함부로 링 위에 오르지 말라는 조언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컨설턴트의 답변]

논란이 불거졌을 때 해당 관련자가 ‘링 위에 뛰어올라가는 것’은 상당한 불이익이 있는 행동입니다. 물론 화가 나고, 억울하고, 근거를 제시할 자신이 있을지라도 ‘링’위로 뛰어올라가는 것은 심사숙고해 결정해야 하는 아주 중요한 주제입니다.

취재 기자가 인터뷰를 거절하는 대상에게 흔히 “무얼 숨기나? 떳떳하면 취재에 응하라!”는 말을 합니다. 상대를 심리적으로 자극해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어 내려는 것입니다. 이 말을 듣는 당사자는 생각합니다. ‘들어보니 그럴 듯한데? 내가 아무 잘못이나 숨기는 것 없고 떳떳하니…기자 질문에 확실하게 답변해주면 논란이 해결되지 않을까?’하는 것이죠. 이는 아주 자연스러운 흔들림입니다.

그러나 논란관련 취재를 받을 때 기억할 것이 있습니다. 논란에 대해 자신이 전혀 관련 없고, 떳떳하다는 사실은 언론을 통해서는 절대 규명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기자는 취재원의 떳떳함을 만천하에 대변해 주는 홍보담당자가 아닙니다. 기자가 확인해 보아 당사자가 아무 관련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최대한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해당 기사를 쓰지 않는 정도일 것입니다. 당사자가 원하는 것처럼 ‘내가 취재해 보니 이 사람은 떳떳하더라’는 내용을 크게 기사화해 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지요.

일단 논란이 수면위로 떠오르면 논란이 논란을 낳습니다. 기존 논란은 다른 논란과 연결됩니다. 관련된 당사자들은 점점 늘어납니다. 그 위에 온갖 가짜뉴스와 카더라 쓰나미가 더해집니다. 논란의 중심에 있는 당사자는 누구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더라도 자신이 최초 원하던 결과를 얻어내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지요. 최근같이 온오프 매체와 개인 소셜미디어 계정 수를 셀 수도 없는 환경에서는 이미 개인이나 조직이 환경을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 해졌습니다.

자신이 떳떳하다는 강력한 자신감을 가지고 기자 질문에 열심히 답변하더라도,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는 없습니다. 운이 좋아 기자가 인터뷰 내용을 그대로 전재하더라도, 당사자 답변 내용에 대한 새로운 논란이 재생산되고, 논박과 추가적 검증이 따라올 뿐입니다. 물론 수백 수천 매체는 당사자의 인터뷰 내용을 가지고 다시 뉴스를 신나게 꾸밀 것입니다. 달라지는 것은 논란이 더 커지고, 다양해지고, 생생해지는 것뿐입니다.

‘링에 뛰어올라간다’는 의미는 한번 특정 기자와 인터뷰를 시작했다면, 그 후 몰려오는 수많은 기자들의 취재요청도 각각 맞받아 쳐 나가며 장기 전면전을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링위에서 혼자 수많은 매체와 오랫동안 싸움을 벌이는 장면을 상상해 보십시오. 살아남기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큰 논란의 중심에 자신이 서 있다면 가장 먼저 자신의 입과 행동을 통제하십시오. 자기 자신을 통제하는 한 논란은 언젠가는 사라집니다. 그것이 데미지컨트롤의 유일한 방법입니다. 그 보다 중요한 위기관리는 그러한 논란을 미리 파악 관리해서 그 속에 빠지지 않는 것입니다. 일단 사전 위기관리에 실패했다면, 링 아래에서 스스로를 통제하십시오. 그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