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고동락하던 한국인의 돌연 사망을 지켜보면서 심신이 무너지는 슬픔 속에서도 응급구호 요청 전화에 밤잠을 설치며 응하고 있는 ‘인도 한인회’ 강호봉 회장이 주인도 한국대사관과 청와대에 인도 교역 최일선에서 직분을 다하고 있는 한국기업인을 위한 긴급 의료지원 시스템을 요청하고 있다.

인도 코로나 재유행 상황이 긴급하여 5월에만 한인회와 여행사들의 주선으로 델리NCR, 첸나이 그리고 벵갈루루 등에서 13편의 귀국행 전세기가 편성되었다.

이들 전세기는 주변에서 정부 예산으로 띄우는 비행기인 줄 알고 있지만 아니다. 한국이 인도의 에어버블 협정요청에 응하지 않아 한·인도 정규노선이 재개되지 못한 가운데 정부 지원 없이 수익자 부담으로 여행사에 의해서 전세기가 상업적으로 편성 운영 중이다. 이렇게 조성된 전세기로 인도 코로나 재유행이 발발된 4월 이후 약 3000여 명의 체류 한국인이 귀국하였다.

그렇지만 떠난 사람보다는 남아서 교역의 현장의 지키고 있는 체류 한국인들이 적지 않다. 떠난 인원들 대부분은 유학생, 기업 주재원 가족 그리고 중·단기 출장자들로 시기를 앞당긴 것이지 모든 것을 포기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인도탈출 본국귀환이 아니다. 지금도 9000 명 이상이 인도와의 교역 현장을 지키고 있다.

인도 코로나도 일일 확진자 40만 명을 고점으로 더욱 나빠지지는 않고 줄어드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진정추세가 확실한 가운데 게다가 백신 접종도 빠르게 늘고 있다. 이렇게 상황이 통제되고 인도 경제도 무너진다는 어떤 전조현상이 없는데 진출 한국기업의 활동이 물러서거나 멈출 수 없다.

지난 혼돈 속에서도 현대차와 기아자동차 그리고 삼성 어느 기업도 공장 가동을 완전중단한 경우는 없었다. 시장의 요구가 있는데 한국기업만이 물러설 수는 없는 일이다. 그렇지만 분명하고 엄중한 것은 이번 대유행으로 귀중한 생명을 잃은 경우가 또 발생해서는 안 된다. 거의 무방비에 가까운 지금과 같은 상태에서 비즈니스를 이어간다는 것은 기업으로나 정부 기관으로서 무책임한 자세가 아닐 수 없다.

재유행이 장악되고 백신 접종이 빠르게 늘어간다고 하여도 감염발발 사태가 완전 종식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렇게 가정하면 인도 내에서 적절한 의료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여 불행을 당한 네 분의 경우가 다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 할 수 없다.

그렇기에 정부 시스템이 앞장서서 기획하고 진출 대기업들이 참여하여 인도 코로나 응급 의료시스템을 구축하자는 인도 한인회 강호봉 회장의 호소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어디에 어떤 형식으로 갖출 것인지에 대해선 전문가 의견과 현지 사정에 적합하게 결정될 일이지만 적어도 취지엔 기업들과 정부의 즉각 참여 선언이 나와야 한다.

사실 최근 인도 내 한국인 확진 경우가 급증한 것도 대기업 생산 현장에서 한국 협력기업들이 어려움을 무릅쓰고 현장을 지키고 참여하는 과정 중에서 발생한 일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무(CSR)로서나 동업자 정신으로도 대기업은 인도 응급의료시스템 구축에 지금 호응하여야 하고 정부 기관은 행정적 뒷받침과 예산으로 앞장서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만 그래도 고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