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한국신용평가
출처=한국신용평가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OK캐피탈이 신용등급 상향을 하며 A등급에 안착했다. 이에 따라 자금조달에서 수혜가 전망된다.

25일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OK캐피탈의 신용등급을 기존 BBB+, 긍정적에서 A- 안정적으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한국기업평가가 지난 22일 발표했으며 한국신용평가가 뒤이어 OK캐피탈의 등급상향을 공시했다.

앞서 OK캐피탈은 지난해 3곳의 신용평가사로부터 BBB+ 안정적에서 긍정적 아웃룩을 확보하면서 신용등급 상향 기대감이 일었다. 업계 역시 OK캐피탈의 양호한 경영실적에 등급 상향 전망에 힘을 실었다.

캐피탈사 관계자는 “오는 5~6월정도 등급상향을 예상했지만 생각보다 빠르게 등급이 상향됐다”라면서 “BBB등급과 A등급의 차이가 큰 만큼 시장에서 받아들이는 것도 클 것”이라도 설명했다.

한국기업평가는 ▲OK캐피탈의 등급상향 요인으로 자본적정성 수준이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점 ▲장기자금 조달규모 확대로 유동성 지표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 ▲우수한 수익성 및 자산건전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 등을 신용등급 상향 이유로 들었다.

한국신용평가는 ▲부동산 관련 기업금융 사업기반이 확대되고 영업 안정성 제고 ▲리스크 관리 효과로 자산건전성 양호하게 유지 ▲신규사업의 성장과 수익구조 개선으로 이익규모 확대 ▲자본적정성 지표 우수하게 유지하고 조달구조 안전성 개선 등을 꼽았다.

출처=한국신용평가
출처=한국신용평가

OK캐피탈은 업계에서도 영업성장이 주목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기업금융의 경우 지난 2016년 12월 기준 자산 규모가 6,030억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1조7,493억원으로 3배 가까운 성장을 이뤘다. 기업금융 내 기업대출과 부동산PF 역시 2016년 기준 각각 5,120억원, 910억원에 그쳤지만 지난해 1조4,094억원, 3,399억원 등으로 급성장했다.

한국신용평가 관계자는 “기업금융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난 부분 자체는 우려가 되는 건 맞지만 관리가 잘 되고 있어 안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금융은 평균 잔액이 커 그만큼 영업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반면, 인건비는 리테일금융보다 적어 수익성이 높다.

캐피탈사 관계자는 “기업대출이나 부동산PF는 영업인력의 네트워크 등에 실적이 크게 좌우돼 최근 캐피탈사 내에서 해당 부분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OK캐피탈 역시 기업금융 비중을 대폭 늘리면서 증권사와 시중은행으로부터 IB부문의 영업인력과 심사인력을 적극적으로 영입해왔다. OK캐피탈은 자산을 공격적으로 늘렸지만 리스크관리를 보수적으로 하면서 자산건전성도 잡았다.

지난해 말 기준 고정이하자산비율과 부실발생 경험률은 각각 0.6%, 1.6%로 경쟁그룹 대비 양호한 수준이다.

이외에도 OK캐피탈은 지난해 2월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며 레버리지비율이 2019년 기준 6.2배에서 지난해 말 기준 4.9배로 내려갔다. 레버리지배율은 분자가 자산, 분모가 자본으로, 자본이 증가할수록 수치가 개선된다.

금융당국은 캐피탈사 레버리지배율 한도를 기존 10배에서 8배 수준으로 강화하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규제 대상인 일부 캐피탈사가 자기자본 확충으로 인한 수익성 하락 우려를 가져왔다. 반면 OK캐피탈은 금융당국 규제보다도 낮아 당장 수익성 하락 우려를 털어냈다.

신용평가업계에서는 향후에도 5배 내외 수준에서 레버리지 관리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출처=한국기업평가
출처=한국기업평가

OK캐피탈은 단기차입의존도가 개선됐다는 점 역시 신용평가 상승을 이끌었다.

OK캐피탈은 지난 2016년에만 해도 단기차입의존도가 73%에 달했다. 당시 총 차입부채는 8,840억원으로 이중 단기차입부채가 6,451억원에 달했다. 이후 단기 기업어음을 장기 회사채로 차환하는 조달구조 개편이 지속되면서 지난해 말 기준 단기차입의존도는 15.9%까지 내려갔다. 유동성 위기가 높을수록 단기자금조달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지만 유동성이 개선되면 장기자금조달 비중이 올라간다.

한국기업평가 관계자는 “지난 2019년 이후 장기 위주 자금조달로 유동성 지표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라면서 “수익기반 확대를 바탕으로 담보 제공여력이 확대된 점도 유동성 대응능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