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이 심각한 양상으로 흐르는 가운데 미 바이든 행정부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12일(현지시간) 관련 대책 회의를 연다. 회의에는 삼성전자도 참석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최근 벌어진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대승적 합의에서 미 바이든 행정부의 역할론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 나온다.

결국 이번 회의의 관건은 ‘미국의 국익을 위한 결정’에서 어떤 길을 찾느냐며,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들이 그 중심에서 어떤 방법을 찾느냐에 달렸다.

백악관. 출처=갈무리
백악관. 출처=갈무리

백악관 회동 ‘관심집중’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미 바이든 행정부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대만 TSMC,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물론 통신사 AT&T를 비롯해 커민스, 델 테크놀로지, 포드, GM, 글로벌 파운드리, HP, 인텔, 메드트로닉, 마이크론, 노스럽 그러먼, NXP, PACCAR, 피스톤그룹, 스카이워터 테크놀로지, 스텔란티스 등 19개사를 백악관으로 불렀다.

대면 회의는 아니고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화상으로 열리는 ‘반도체 및 공급망 복원에 관한 최고경영자(CEO) 회의’다.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이 공동 주재하며 바이든 대통령도 잠시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DS(반도체)부문의 최시영 사장(파운드리 사업부장) 참석이 유력하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경제 및 안보 투톱(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이 회의를 주재하는 장면에 주목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을 경제는 물론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메시지’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잠시 자리해 모두발언을 할 것이라는 전망에도 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실상 ‘미국 대통령이 직접 현안을 챙긴다’는 메시지다. 바이든 행정부가 최근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을 얼마나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잘 드러난다.

참여 기업들이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은 물론 완성차, 우주항공, 통신사 등 국가 기간 인프라 사업과 관련된 기업들을 모두 불러들인 것도 의미심장하다. 이 역시 바이든 행정부의 사안에 대한 ‘엄중한 시각’을 잘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후폭풍에 주목하라

백악관의 경제 및 안보 투톱이 회의를 주재하고 바이든 대통령도 참석하는 이번 회의에서는 역시 현지 반도체 '투자' 논의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가 직접적으로 참여 반도체 기업들에게 미국 내 투자를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회의 자체가 비공개로 전개되는 가운데 바이든 행정부가 각 반도체 기업들에게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을 요청할 가능성도 있다.

회의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든 업계에서는 이번 백악관 회합을 통해 미국 중심의, 미국의 국익을 최우선하는 반도체 전략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최근 2조원의 대승적 합의로 업계의 찬사를 받고있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분쟁 해결 과정에 힌트가 있다.

두 기업은 무려 2년 간 배터리 지식재산권을 두고 난타전을 벌였으나 최근까지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한 바 있다. 이에 바이든 행정부는 미 조지아 공장을 지키는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의 손을 들어준 미 국제무역위원회(ITC)의 판단을 존중하는 선에서 두 기업에 강력한 합의 종용에 나섰다.

정치적 리스크가 큰 ITC에 대한 거부권 행사까지 나아가지 않는 선에서 미 조지아 공장을 지켜 자국 내 배터리 제조를 원만하게 끌어내고 LG에너지솔루션의 통 큰 양보를 끌어낸 배경에는 역시 ‘미국 우선주의’가 있다. 여기에 현지 일자리 창출이라는 대의명분까지 건지는 분위기다.

이번 회동도 배터리 분쟁 합의 과정에서 확인된 바이든 행정부의 기본적인 정책 방향성, 즉 미국의 국익 우선주의 연장선에 있을 것이 확실시된다.

지난 2월 바이든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중국을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반도체, 희토류 등)에서 사실상 배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중국과의 대결구도를 끈질기게 끌어가는 장면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미 상원 외교위원회는 ‘2021년 전략적경쟁법’을 논의하고 있다. 법안에는 2026년까지 인도태평양 지역에 6억5,500만달러 규모에 달하는 외교적 군사지원을 단행하는 한편 대만해협 등에서 벌어지는 중국의 군사무력시위에 대항해 추가로 4억5,000만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나아가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 대북 유엔제재 이행을 압박하고 심지어 홍콩의 민주주의를 지원하기 위해 1000만달러를 책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심사 범위를 확장해 중국의 기술약탈을 막는다는 플랜도 법안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그 연장선에서 이번 백악관 회동을 통해 중국을 자극할 수 있는 미국 중심의 반도체 전략이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삼성전자 미 오스틴 공장. 출처=삼성
삼성전자 미 오스틴 공장. 출처=삼성

기회, 그리고 불안함

바이든 행정부가 이번 회의를 통해 중국을 배제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구축, 나아가 자국 중심의 관련 인프라 확충을 요구할 경우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기회로 작동할 여지도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 170억달러를 투자해 파운드리 라인업 증설에 나설 계획이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현지 인프라 확충 요청이 있을 경우 빠르게 관련 로드맵을 가동하며 세제 혜택 등 다양한 편의를 누릴 수 있다. 현지 일자리 창출을 원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노림수와도 맞아 떨어진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주정부에 제출한 투자의향서를 통해 오스틴 공장 증설에 나설 경우 2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 역설한 바 있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가 자국 기업에게는 리쇼어링을, 삼성전자와 같은 외국기업에게는 미국 내 생산을 독려하는 상황에서 투자 압박을 크게 올린다면 그 자체로 리스크가 될 수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의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각 기업에 필요이상의 투자 확대를 요구할 경우 기업 입장에서는 불안요인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백악관 회의 목표에 미 제조업 부흥, 일자리 창출이라는 큰 그림이 그려지며 중국을 자극하는 로드맵까지 등장할 경우 삼성전자 등 외국 기업이 받을 압박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