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에너지는 무한에너지다. 발전 가능성과 잠재성도 그야말로 무한대다. 기업들이 앞다퉈 태양광 산업에 투자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태양광산업이 요즘 다수 주춤하는 분위기가 없지 않지만 한화그룹은 이런 측면마저 긍정적으로 본다. 공격적인 마인드로 접근하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도 경쟁력을 갖춰놓으면 장기적으로 훨씬 파워풀한 사업을 펼수 있다는 전략도 깔려 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낌없이 태양광 사업에 투자하고 있는 한화그룹의 ‘눈부신’ 비전과 전략을 짚어본다.

태양광 원천기술은 대부분 해외에 있다. 우리나라 역시 태양광사업 발전에 많은 자금을 투자하고 있지만 대부분 해외 기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외국에 비해 대중화 되지 못했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화그룹은 태양광 사업에 필요한 원천자원인 폴리실리콘(한화케미칼)을 시작으로 잉곳(ingot), 웨이퍼(wafer), 태양전지(셀), 모듈(한화솔라원)까지 태양광 제조분야에 수직계열화를 만들어냈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발전(한화솔라에너지) 사업까지 진출했다. 자체생산부터 설비까지 모든 과정을 도맡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셈이다. 다른 기업들에 비해 태양광 사업에 늦게 뛰어들었지만 국내 자체 기술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케미칼은 지난해 4월 연간 1만 톤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여수 국가산업단지에 건설하기로 했다. 늦어도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 가동을 시작하면 2014년부터는 연간 5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태양전지의 핵심소재인 폴리실리콘을 자체 생산을 해낸다는 의미는 매우 크다. 2014년 이후 한화그룹 내부적으로 필요한 폴리실리콘 수요량의 대부분을 자체 확보하게 되면서 경기 변동에 대비할 수 있고 안정성과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한화솔라원, 모듈 생산량 세계 7위 도약
한화그룹은 지난 2010년 8월 나스닥에 상장돼있던 태양광회사인 ‘솔라펀파워홀딩스’를 4300억 원에 인수했다. 사명을 한화솔라원(Hanwha Solarone)으로 변경하고 태양광 산업에 본격 뛰어들었다. 한화솔라원의 연간 셀 생산규모는 1.3MW, 모듈 생산규모는 1.5GW다.

세계 시장조사 및 컨설팅 기관인 Lux Research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화솔라원은 2011년 전 세계 모듈 생산량에서 7위를 기록했다. 모듈 생산량 Top 10 대부분이 중국회사인데 반해 한국 모듈생산회사로는 한화솔라원이 유일하다. 한화솔라원은 800MW 규모의 잉곳과 웨이퍼도 각각 생산하고 있다.

한화솔라원은 시장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중국 난퉁경제기술개발지구에는 2단계에 걸쳐 2GW 규모의 태양전지와 모듈 생산설비도 각각 마련할 계획을 세웠다. 한화는 한화솔라원을 인수한 이후 글로벌 태양광 시장 영역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았다. 규모의 확장 이후에는 ‘1366테크놀로지’와 ‘크리스탈솔라’ 등 태양광 기술 개발 벤처업체들의 지분을 인수하는 등 기술경쟁력 강화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2010년 10월 한화케미칼이 지분을 인수한 ‘1366테크놀로지’는 잉곳 과정을 거치지 않고 용융 상태의 폴리실리콘에서 직접 웨이퍼를 생산하는 ‘다이렉트 웨이퍼’(Direct Wafer) 기술을 개발 중이다. 또 지난해 9월 지분을 인수한 ‘크리스탈솔라’는 모듈 제조 과정 중 실란 가스에서 폴리실리콘과 잉곳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3년 내에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기술이 개발 완료되면 모듈 제조의 중간단계인 웨이퍼 제조과정에서 혁신적인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웨이퍼의 박막화도 가능하게 할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韓-中-美 글로벌 R&D 네트워크 구축 마무리
한화는 세계 최고의 첨단기술 연구단지인 미국 실리콘밸리에 태양광 분야 연구개발을 전담할 연구소인 한화솔라아메리카(Hanwha Solar America)를 설립했다. 한국-중국-미국에 이르는 글로벌 태양광 R&D 네트워크도 완성한 셈이다. 한화그룹은 태양광부문 글로벌 CTO인 크리스 이버스파쳐 박사를 연구소장으로 내세웠다.

이버스파쳐 박사는 25년간 태양전지 공정기술 개발에 전념하며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pplied Materials)社, 나노솔라(Nanosolar)社 등의 CTO를 역임한 세계적으로 저명한 태양광 학자다. 한화그룹은 실리콘밸리의 이 연구소를 차세대 태양전지 등 미래 태양광 기술을 선도할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도록 했다.

한화의 태양광 발전사업을 전담하기 위해 ‘한화솔라에너지’도 설립했다. 지난해 4월 설립된 한화솔라에너지는 국내외에서 태양광 발전사업 개발을 벌인다. 2015년까지 보유사업 규모(파이프라인) 1GW 이상을 확보하고 연간 100MW 이상의 발전사업을 실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화솔라에너지는 지난해 11월 말 창원 한화테크엠 공장 지붕에 2.24MW에 이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Roof-Top 태양광발전소를 준공했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시장 개척을 위한 투자도 아끼지 않았다. 지난해 9월 한화그룹 미주법인인 한화인터내셔널은 ‘원루프에너지’(OneRoof Energy)사의 지분을 인수 했다. 원루프에너지는 일반 주택의 지붕에 설치하는 루프(Roof)형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리스(Lease)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업체다.

미국은 최근 태양광 리스 프로그램 제공 업체들이 급부상해 향후 주택용 태양광 발전 시장이 연평균 30% 이상 고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를 이 회사 지분 인수를 통해 미국 주택용 태양광 시장 진출에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는 한화 유럽법인이 이탈리아 북부 로비고(Rovigo) 지역에 직접 투자·건설한 6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도 상업생산을 시작하고 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