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며 트럼프 행정부의 화웨이 압박이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 미국이 1일 예고했던 200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처음으로 적용했다. 중국도 즉각 보복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다. 국내 경제도 살얼음판을 걸을 전망이다.

두 수퍼파워의 관세전쟁은 이미 적정선을 넘었다는 평가다. 미국은 지난해 7월부터 지금까지 총 2500억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에 관세폭탄을 매기고 있으며 추후 3000억달러가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대미수출액이 지난해 기준 5400억달러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모든 중국산 제품에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셈이다.

▲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출처=갈무리

미국의 압박은 다양한 각도에서 전방위적 양상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미국은 중국에 관세폭탄을 던지는 한편 화웨이와 실리콘비전, DJI 등 중국 기업에 대한 압박수위를 올리며 긴장감을 키우고 있다.

그 연장선에서 화웨이는 구글 안드로이드 최신 버전 접근 차단을 비롯해 퀄컴과 인텔 부품 수급이 막혔고,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속속 화웨이를 버리고 있다. 대만의 TSMC와 일본의 도시바 등 전통의 우군들은 아직 화웨이와의 협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 역시 위태로운 상황이다.

중국도 즉각 반격에 나설 분위기다. 당장 미국을 대상으로 1100억달러 규모의 보복관세를 준비하는 한편 희토류 전략 무기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두 수퍼파워의 진영 부풀리기도 이어지며, 각 국가의 셈법도 치열해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며 글로벌 경제도 휘청일 전망이다. 특히 미국이 중국은 물론 인도를 대상으로 일반특혜관세제도(GSP)를 폐지한다고 발표하는 등 확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보호 무역주의가 거세지며 중국은 물론 인도, 유럽, 나아가 전 세계가 경제 불확실성의 시대로 빨려들어가고 있다는 평가다.

수출지향국가인 한국도 큰 피해를 입을 전망이다. 당장 지난해 수출액이 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수출 전선에 빨간불이 들어온 가운데 추후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는 더 큰 상처를 남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금이라도 시장 다각화 로드맵을 설립하는 한편 미중 무역전쟁의 흐름에서 유리한 지점을 취사선택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