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박기범 기자] 이마트와 홈플러스의 수익성 지표가 오는 2021년까지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매출은 역성장인 가운데 시장 장악력은 떨어지고 임차료 등 고정비 비중은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 26일 한국신용평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유통 패러다임 전환, 대형 유통업체의 입지가 축소되고 있다'는 주제로 상반기 크래딧 전망을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개최했다. 사진=박기범 기자

26일 한국신용평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유통 패러다임 전환, 대형 유통업체의 입지가 축소되고 있다'는 주제로 상반기 크래딧 전망을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개최했다.

유통업체들은 최근 실적이 부진한 상태다. 2011년 5.9%에 이르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과거의 40%수준인 2.4%에 그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에는 주요 유통업체 합산 총매출이 감소세로 전환됐다.

특히 대형마트 3사의 수익성 저하는 두드러진다. 지난해 주요 대형마트 3사(이마트·홈플러스·롯데쇼핑)의 합산 총매출은 1.3%가 감소했고, 합산 영업이익률은 3.1%로 전년대비 1.1%p하락했다. 반면 백화점은 지난해 4.0% 매출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률이 0.2% 개선됐다. (2017년 5.9%→2018년 6.1%)

▲ 대형마트 3사의 매출 성장률. 출처=한국신용평가

대형마트의 실적저하 원인은 수익과 비용 양 측면에서 작용했다. 유통채널 다각화, 소비패턴 변화 등에 따른 수익 저하뿐만 아니라 전·후방 교섭력 약화 등으로 비용이 상승하기도 했다.

특히 인건비, 임차료, 지급수수료 등과 같은 고정비용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대형마트 3사의 고정비용(인건비+임차료+지급수수료) 대비 총매출은 16%로 2012년의 12%보다 4%p증가했다.

송민준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유통 채널 다각화 등으로 가격 비교 가능성이 높아져 대형마트의 매력도가 감소했다"며 "향후 추세적 매출 성장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마트(AA+/안정적)의 연결재무제표(하남스타필드 합산)기준 2018회계연도 EBITDA/총매출은 지난해 6.2%를 기록, 2012년 8.1%보다 1.9% 하락했다. 향후 전망은 더욱 부정적이다. 한신평은 올해 EBITDA/총매출 전망을 6.0%, 2020년 6.0%, 2021년 5.9%로 전망했다. 

한신평은 EBITDA/총매출 6.0%를 이마트의 등급 하락 기준 중 하나로 꼽고 있다.

▲ 이마트 수익성와 재무안정성 지표 전망. 출처=한국신용평가

홈플러스(홈플러스스토어즈 기준)의 지난해 11월 말 기준 2018/19 연결재무제표 EBITDA/총매출은 6.1%다. 이는 2017년 8.7%보다 2.6% 낮아진 수준이다.

한신평은 홈플러스의 EBITDA/총매출이 올해 5.5%, 2020년 5.4%, 2021년 5.1%로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신평은 EBITDA/총매출 5.0%를 홈플러스의 등급 하락 기준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송 연구원은 "최저임금 상승 및 연이은 판매 후 리스(S&LB)에 따른 임차료 부담 증가가 수익성의 제약 요인"이라고 꼽았다.

한편 지난 20일 한국신용평가는 홈플러스의 단기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한 단계 낮춘 바 있다.

▲ 홈플러스의 수익성과 재무안정성. 출처=한국신용평가

롯데쇼핑(AA+/부정적) 역시 수익 전망은 부정적이었다. 한신평은 중국사업 철수 등으로 EBITDA/총매출이 지난해 6.6% 수준보다 소폭 상승한 6.7% 수준으로 예상했다. 이후 한신평은 2020년 6.5%, 2021년 6.4%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송 연구원은 "대형마트는 비식품 카테고리의 경쟁력은 소셜커머스, 백화점, 복합쇼핑몰, 편의점 등과 비교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식품 카테고리는 경쟁우위 요인이 유효하지만 성장률이 0%대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