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홍석윤 기자] 세계 해운 업계가 내년부터 2년간 중대한 고비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 등이 보도했다.

글로벌 무역 둔화와 낮은 운임료로 고전하고 있는 와중에, 내년부터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가 저황산 연료 사용을 의무화할 예정이어서 해운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는 것.

IMO는 내년부터 콘테이너선들이 황산 함량이 현재의 최대 3.5%에서 0.5%로 낮은 연료를 사용하도록 방침을 정하고 각 항구에서 이에 위반하는 선박들은 견인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오일프라이스 인포메이션서비스(Oil Price Information Service)의 글로벌 에너지 이사 톰 클로저는 세계 170개국 이상이 서명한 이번 IMO 협약은 1990년대에 납을 제거한 무연 휘발유 사용이 정착된 이후 가장 큰 석유 관련 규제라고 설명했다.

연료비가 비싸지면서 해운업체들은 연 100억달러(11조원)의 부담이 생기지만, 고객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 상당 부분은 스스로 감당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오션네트워크 익스프레스(ONE)의 제레미 닉슨 최고영영자(CEO)는 WSJ과의 인터뷰에서 연료비 상승으로 운임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화주에 부담을 넘기기도 쉽지 않다고 밝혔다.

컨설팅업체 앨릭스파트너스(AlixPartners)가 지난주에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연료비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아시아·유럽 항로는 운임을 40%, 환태평양 항로는 33%를 더 인상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중국의 경제 둔화와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화물 감소에 덴마크의 AP몰러-머스크를 비롯한 해운업체들은 올해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소렌 스코우 머스크(Maersk)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투자자 콘퍼런스에서 올해는 특히 중국과 유럽의 경제 성장 둔화로 콘테이너 수요 증가율이 지난해의 3.7~3.8%에서 1~3%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세계 해운 업계가 내년부터 2년간 중대한 고비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Food Logistics

[美·中]
■ WSJ·신화망, "미중 무역협상 중대 진전, 타결 임박"

-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장예쑤이(張業遂) 대변인이 전인대 개막 전날인 4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이 가까웠음을 강력히 시사했다고 신화망(新華網)이 보도.

- 주미대사를 역임한 장 대변인은 “미중이 그간 무역협상을 통해 얻은 '중대한 진전'을 양국과 세계가 환영하고 있다”고 강조.

- 그는 이어 "중미가 수교한지 40주년 동안 양대 경제국의 협력이 최선의 선택이라는 사실을 역사가 보여주고 있다. 이제까지 양국 이익에 관한 많은 문제에서 중대한 진전을 보았다"고 밝혀.

- 월스트리트 저널(WSJ)도 3일(현지시간), 아직 여러 장애가 남아있긴 하지만 중국 측이 미국산 농산물, 화학제품, 자동차 등 기타 제품에 대한 관세 및 기타 제한을 낮추겠다고 제안하면서 무역교섭의 타결이 임박했다고 보도.

- WSJ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오는 27일경 정상회담에서 공식 합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오대양·아시아]
■ 호주-인도네시아, 경제동반자 협정 체결

- 호주와 인도네시아가 4일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을 정식으로 체결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

- 호주 사이먼 버밍엄 무역투자 장관은 이날 자카르타에서 인도네시아 엥가르티아스토 무역장관과 회담 후 인도네시아-호주 포괄적 경제통반자 협정(Indonesia-Australia CEPA)에 서명했다고.

- 이번 협정으로 인도네시아는 호주산 제품에 대한 관세의 94%를 점진적으로 폐지. 설탕과 쇠고기, 유제품 등 호주산 수입품은 인도네시아에서 관세우대 혜택을 받게 되고, 교육과 광산업, 병원 진출도 용이해져.

- 인도네시아도 호주에 수출하는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모두 철폐하는 수혜를 받게 돼.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산 의류와 목재가구 등 주력 제품의 호주 시장 진입이 크게 확대될 전망.

- 인도네시아는 호주와 CEPA에 서명하면서 자국 국내총생산(GDP)이 0.23% 늘어나는 효과를 보게 된다고 설명.

[중국]
■ "올해 중국 경제성장 6.1%까지 떨어질 수 있어"

- 경기둔화세를 보이는 중국의 2019년 경제성장률이 6.1%까지 주저앉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고 닛케이 신문이 4일 보도.

- 중국 거시경제 전문가인 샹쑹쭤(向松祚) 인민대학(人民大學) 교수는 "1, 2월 경제통계를 보면 금년 중국 경제의 하방 압력이 대단히 크다"며 이같이 예측했다고.

- 샹쑹쭤 교수는 "여러 통계 수치가 서로 상충되고 있어 많은 이들이 중국 정부의 공식 발표 수치를 의심하고 있다"며 통계의 신뢰성 문제도 제기.

- 그는 “정부가 발표할 2019년 실질 성장률은 6.1%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며 “분명한 것은 1~3월에 작년 4분기의 6.4%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분석.

- 샹 교수는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8년 경제성장률을 실질로 6.6%라고 발표했으나 지난해 31개 성시자치구 가운데 80%가 성장률이 저하했으며 최소한 10곳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며 2018년 성장률이 정부 발표만큼 높지 않다는 견해가 많다"고 설명.

■ 中, 우주에 태양열발전소 설치 계획 - 2050년 상업 운영 목표

- 중국 정부가 지상에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지구로 보낼 수 있는 태양열 발전소를 우주에 설치할 계획이라고 3일(현지시간) CNN이 보도.

- 과학자들은 몇 가지 기술적 도전 과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면 이 계획은 대기 오염 악화나 지구온난화와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에너지원에 대한 의존을 줄이려는 경쟁에서 획기적인 도약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

- 지금까지 우주에 태양열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한 비용은 너무 막대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중국은 2020년까지 태양열과 풍력, 수력 및 원자력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에 2조 5000억 위안(420조 5932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

-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CASTC)는 2050년쯤 우주 태양열발전소의 상업적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 계획이 기후 변화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겠지만 중국에 군사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고.

[일본]
■ 디지털 결제, 일본이 중국에서 배운다

- 일본은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지만, 아직도 현금을 고집하며 ‘디지털 결제’가 아직 도입되지 않은 나라. 이에 비해 중국은 세계에서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디지털 결제가 발달하며 이미 ‘캐시리스’ 사회를 구현.

- 중국의 관광객들이 일본으로 대거 몰리면서 일본 소매업체들이 잇따라 알리페이 등 중국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 보도.

- 한때 모든 면에서 중국의 선생이었던 일본이 디지털 결제에 관한 한 정반대가 된 것. 더 재미있는 것은 중국이 일본에게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채택하라고 전혀 압박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본 업체들이 앞다투어 이를 채용하고 있다는 것.

- 그러나 애플페이나 아마존페이 등 미국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은 일본에 거의 침투하지 못하고 있다고.

- 지난 해 800만 명의 중국 관광객이 일본을 방문하면서 일본의 스마트폰 결제 분위기가 확산. 중국의 이 같은 힘은 일본 뿐만 아니라 미국까지 침투. 미국의 유명 약국체인인 월그린은 지난해 7000개 지점 모두에 알리페이 결제시스템을 도입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