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오케이캐피탈 홈페이지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오케이캐피탈이 공모채 발행에 나섰지만 사모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 CP 등을 감안하면 사모조달 규모는 1조2000억원을 상회한다. 사모조달 형태는 수요예측 의무가 없어 가격 결정 공정성에 문제를 야기한다. 여전채 시장의 왜곡 원인으로도 지목되는 요인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오케이캐피탈은 지난 7일 진행한 200억원 규모의 1년 6개월 만기 공모채 수요예측에는 총 980억원 가량 주문이 들어왔다. 최종적으로 오케이캐피탈은 회사채 발행금액을 400억원으로 확대했다.

오케이캐피탈은 지난해 9월 100억원 규모 공모채 수요예측에서 총 300억원의 주문을 확보했다. 발행액은 총 260억원으로 당초 계획보다 160억원이 늘어났다. 앞서 6월에 치뤘던 수요예측 데뷔전에서는 1년물 200억원 수요예측에서 490억원 가량 주문이 들어왔다. 최종적으로 330억원 끌어모았다. 8월에도 200억원을 공모 시장에서 조달했다.

공모 흥행이 지속되는 가운데 오케이캐피탈은 지난 11일 100억원의 사모채를 발행했다.

오케이 캐피탈 관계자는 “사모채 발행은 회사 차원에서 계획된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말 기준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오케이캐피탈은 지난 1월부터 9월말까지 21건의 회사채를 발행했지만 이 중 공모채발행은 단 3건에 그쳤다. 나머지 18건은 모두 사모채로 전체 5846억8000만원 중 공모채 비중은 790억원에 불과했다.

사모채는 증권신고서 발행과 공시 의무가 면제가 된다. 회사채 발행 당기의 기업 경영 상태나 재무 위험에 대한 정보 역시 제한적이다. 회사채 발행 당시에 기업 상태에 대한 정확한 검증이 어려운 셈이다.

기업어음과 전단채 등을 고려하면 사모조달 규모는 1조2000억원을 넘는다. CP 등은 수요예측 의무가 없기 때문에 시장 왜곡 요인으로 꼽힌다는 점도 문제다.

오케이캐피탈은 지난해 9월말 기준 전체 차입금의 52.8%가 단기성차입금으로 구성돼 있다. 단기사채를 포함한 단기차입의존도도 49.4%를 기록했다.

한국기업평가 관계자는 “추가적인 차입구조 장기화가 이뤄지는지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