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가 지난 4일 중국이 미국 주요 기업 해킹을 위해 전산 서버에 심어 놓았다고 보도한 초소형 스파이칩.   출처= 블룸버그

[이코노믹리뷰=홍석윤 기자] 아마존, 애플 등 미국 주요 기업과 정부 기관 정보·통신(IT) 기기에 중국의 스파이칩이 심어져 정보 유출 의혹을 제기한 블룸버그 보도에, 해당 기업들이 직접 나서 강력 반박하며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BBW)는 지난 4일 대만계 서버 제조업체 슈퍼마이크로가 애플, 아마존웹서비스(AWS) 등에 납품하는 마더보드(컴퓨터 주기판)에 감시용 초소형 칩을 심어 수년 동안 해당 기업들의 지식재산권과 거래 기밀을 수집하는 등 스파이 활동을 벌였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슈퍼마이크로가 자사 제품에 중국의 '스파이칩'이 설치됐다는 블룸버그의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슈퍼마이크로는 지난 18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낸 서한에서 "우리는 악성 하드웨어 칩이 제조 과정에서 우리 마더보드에 심어졌다는 최근의 언론 보도가 틀렸다는 것을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슈퍼마이크로는 "지금까지 확인한 바로는 마더보드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어떤 악성 하드웨어 칩도 설치되지 않았다"며 "악성 칩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스파이칩' 의혹 보도 이후 슈퍼마이크로 주가는 40% 이상 하락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도 "블룸버그는 만날 때마다 말이 바뀌었다. 우리는 회사를 완전히 헤집어 스파이칩에 대해 조사했지만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 스파이칩 보도와 관련해 진실은 없다"고 강조하며 블룸버그에 보도 철회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앤디 재시 CEO도 "블룸버그는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기자들은 (취재원의) 농간에 당했거나 소설을 쓴 것이다. 블룸버그는 보도를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블룸버그는 "우리는 1년 넘게 진행한 조사를 통해 내부 관계자 17명에게서 하드웨어 조작과 공격 징후를 확인했다. 우리는 보도의 출처에 확신을 갖고 있으며 우리의 입장을 고수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 트럼프, 美중간선거 앞두고 '중산층 10% 추가감세' 제안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월 6일 중간선거를 앞두고 중산층을 상대로 10% 추가감세 실시를 주장했다고 CNBC, 폴리티코 등이 22일(현지시간) 보도.

-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10% 안팎의 중산층 세금 감면을 실시하려 한다"며 "이는 우리가 이미 실시한 세금 감면에 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감세안은 중간선거 득표율을 높이기 위해 중산층 유권자들을 타깃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고.

-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해 감세가 기대했던 것보다 대중들의 반향을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공화당원들의 좌절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지적.

- 그러나 10% 중산층 추가감세가 실현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 연이은 세금 감면 조치로 인한 적자 부담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 미 연방정부의 2018 회계년도 재정적자는 7790억달러(882조 6000억원)로 이미 6년 만에 최고 수준에 달해.

■ 머스크의 'LA 지하터널' 12월 개통  

- 엘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로스앤젤레스(LA)의 교통체증 개선을 목표로 만들고 있는 지하 초고속 터널이 오는 12월 10일 개통될 예정이라고 미 언론들이 22일(현지시간) 보도.

- 머스크는 21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첫 번째 터널이 거의 완성됐다"면서 "오는 12월 10일 밤 개통한다"고 밝혀. 그는 쏟아지는 질문에 "당일 개막식을 열고, 다음 날 무료 탑승을 할 수 있다"고 답변.

- 머스크는 2016년 굴착전문기업 보링컴퍼니를 설립해 2017년부터 터널 착공에 들어가.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 본사와 LA국제공항 사이에 놓인 405번 고속도로 구간에서 상습 정체가 생기자 차세대 교통수단을 제공해 이를 해결하겠다고 나선 것.

- 지하터널은 스페이스X 본사가 위치한 LA 남부 호손에서 LA 공항까지 약 3.2㎞ 구간. 머스크는 이 지하터널에서 '스케이트'라 불리는 루프 자기장 고속차량을 운행할 계획. 최고 시속은 150마일(약 240km).

- 스케이트 차량에는 최대 16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자가용도 실어 나를 수 있다고. 차량은 지상에 배치되며, 승객이 탑승하면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하터널로 옮겨진 후 목적지로 이동한다고.

▲ ‘스케이트’는 승객이 탑승하면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하터널로 옮겨진 후 목적지로 이동한다.   출처= Boring Company

[중국]
■ 中 선전(深圳), 대중교통수단 모두 전기차로 교체

- 중국 제조업 기지이자 IT산업 중심지인 광둥성 선전이 지난해 모든 시내버스를 전기차로 바꾼데 이어 올해 말까지 택시도 모두 전기차로 바꿀 계획이라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3일 보도.

- 선전시 정부는 지난해 1만 6000대의 버스를 모두 전기차로 교체했고, 올해 말까지 1만3000대에 이르는 택시도 모두 전기차로 교체할 계획.

- 중국에서는 선전시는 물론 중국 중앙정부도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어.

- 이는 중국 중앙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중국 제조 2025’에도 부합. 중국 정부는 중국 제조 2025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전기차를 내세우고 2025년까지 연산 300만 대의 전기차 생산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 전기차 업체가 대부분 선전 주변에 있는 것도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 SCMP는 선전시가 이산화탄소 차량 제로 도시를 선언함에 따라 다른 도시들도 이를 따를 전망이라고 전해.

■ 中 대표 편의점 폐점 잇따라 - 36만개 매장 적자 운영

- 중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유통업체 ‘징둥(京东)’의 편의점이 최근 잇따라 폐점하고 있다고 23일 중국 과학전문지 과기일보(科技日報)가 23일 보도.

- 지난해 7월 징둥 창립자 류창둥(劉强東) 회장은 “오는 2020년까지 중국 전역에 100만 곳의 오프라인 편의점을 개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히고 같은 해에만 약 45만 곳의 편의점을 개설.

- 그러나 불과 1년이 지난 10월 현재 전국에 소재한 징둥 편의점 가운데 약 36만 5000여 곳이 적자 운영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더욱이 일부 오프라인 매장은 ‘징둥’ 측이 요구하는 브랜드 제휴비용의 과다 등을 이유로 폐점을 선언하고 있어.

- 징둥 편의점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온라인 유통 업체로 잔뼈가 굵은 ‘징둥’이 오프라인 유통업에 필수적인 당기 상품 교환을 위한 일체의 창고 상품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 또, 징둥 본사에서 결정한 제품만 진열해야 해 3~4선 도시 이하의 농촌 거주민의 기호에 적합하지 않은 것들이 많다는 비판.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비용 및 징둥에 지불해야 하는 가입비 명목의 보증금 등을 점주가 100% 부담한다는 것도 부담을 가중시켰다고.

▲ 야심 차게 출발한 징동의 편의점에서 잇따라 폐점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출처= Caixin Global

[대양주]
■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 구입 금지 시행 들어가

- 뉴질랜드에서 외국인들이 신축 아파트를 제외하고 주택을 구입할 수 없는 법이 시행에 들어갔다고 가디언이 22일(현지시간) 보도.

- 그러나 뉴질랜드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는 이번 주택 구입 금지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호주와 싱가포르도 새로운 금지 조치에 적용되지 않아.

- 외국인들은 신축 대규모 아파트에 한해 최대 60%까지 구매가 가능. 새 조치는 연립정부를 구성한 노동당이 지난해 총선 때 공약한 것을 시행에 옮긴 것.

- 주택 문제는 지난해 뉴질랜드 총선에서 주요 이슈 중 하나. 뉴질랜드 주택 가격은 지난 10년간 전국적으로 60% 상승했으며 오클랜드와 같은 대도시는 2배 가까이 올라.

- 그러나 새로운 조치에 부정적인 의견도 여전. 주택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 뉴질랜드부동산연구소(REINZ)의 반디 노웰은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규제에 앞서 공급 증가, 허가 절차 단축, 지자체 간 행정의 일관성, 생애 첫 주택 구매자에 대한 대출 규제 완화 등 사전 정리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