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네이버가 10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네이버 커넥트 2019 행사를 열어 생태계 강화 로드맵을 발표하는 한편, 모바일 네이버 개편의 청사진도 공개했다. 네이버 커넥트 데이는 파트너들과 네이버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며, 올해 행사는 예년과 비교해 한 달 가량 먼저 마련됐다.

모바일 첫 화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 플랫폼의 강점을 설명하면서 “네이버는 다양한 콘텐츠와 상품이 사용자들과 연결되도록 만들어, 생산적인 플랫폼이 되도록 만들고 있다”면서 “3000만명이 사용하는 네이버 첫 화면에 대한 고민이 더욱 깊어졌으며, 결국 네이버의 본질인 연결을 제외한 모든 것을 내려놓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 개편된 네이버 모바일 화면. 출처=네이버

그린닷, 웨스트랩...그리고 커머스

네이버 모바일 화면의 기존 그린윈도우는 예상대로 변하지 않고 자리를 지킨다. 기본적인 검색 인터페이스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바일 화면 아래의 뉴스 콘텐츠와 실시간검색어 등은 모두 별도의 판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뉴스 콘텐츠가 노출되는 뉴스판은 언론사가 직접 편집하거나 인공지능 에어스가 콘텐츠를 배열하며, 추천 뉴스피드가 제공된다. 실시간검색어도 별도의 검색차트판으로 이동했다.

한 대표는 “이번 개편을 통해 네이버의 본질인 연결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털 뉴스 편집권을 포기하고 소위 ‘검색어 장사’에 나서고 있다는 비판과 거리를 두려는 포석이다. 한 대표는 “연결의 깊이와 너비를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모바일 화면에 그린닷이라는 버튼이 추가된 점이 눈길을 끈다. 그린윈도우가 기존의 네이버 검색 생태계를 상징한다면 그린닷은 터치 검색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그린닷의 세부 페이지는 사용자의 위치, 시간, 정보의 종류와 언어를 파악해 관심사로 연결하는 등의 기능이 탑재된다.

이스트랜드와 웨스트랩도 눈길을 끈다. 그린윈도우처럼 이스트랜드는 기존 네이버의 텍스트 중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치할 것으로 보인다. 웨스트랩이 비밀무기다. 네이버는 커머스를 중심으로 웨스트랩을 새롭게 구성해 다양한 가능성을 타진한다는 설명이다.

▲ 그린닷이 보인다. 출처=네이버

새로운 모바일 화면 통할까

네이버가 10일 모바일 화면 개편을 단행한 결정적 이유는 소위 드루킹 파문 때문이다. 드루킹이 단순한 매크로 기술로 네이버를 포함해 다음과 네이트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 달린 뉴스 댓글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 큰 파문이 일었다. 자유한국당 등 야당 의원들이 대거 네이버로 몰려가 항의하는 등 논란은 쉽게 가라않지 않았고, 별 소득은 없었으나 드루킹 특검까지 출범하기에 이르렀다.

네이버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5월 네이버는 서울 역삼동 파트너스퀘어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매크로와 뉴스 댓글 정책 추가 개편안을 발표했다. 새로운 뉴스 댓글 정책이 눈길을 끈다. 크게 4가지 정책이다. 먼저 24시간 동안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가 50개로 제한되며 ‘(비)공감 취소’ 역시 해당 개수에 포함된다는 설명이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으나, 이제는 동일한 댓글에 대해 기존과 같이 한 번의 공감/비공감만 가능하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차별 클릭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 5월 열린 네이버 기자회견. 출처=네이버

기존에는 하나의 계정으로 동일한 기사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는 20개였으나, 이제 3개로 제한된다. 또 연속 댓글 작성 시 댓글 작성 간격을 10초에서 60초로 확대하고 연속 ‘공감/비공감’ 클릭 시 10초의 간격을 새롭게 둔다. 이외에도 관심이 높은 댓글 정렬 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이르면 5월 중순 추가 대책을 발표하며 댓글 작성자의 정체성 강화와 개인별 블라인드 기능 신설, 소셜 계정에 대한 댓글 작성, 공감/비공감 제한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5월에 이어 10월 베일을 벗은 네이버의 새로운 모바일 개편안은, 구글을 연상하게 만드는 첫 화면에 인터랙티브 버튼을 설치해 ‘최소한의 여지’를 남겼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네이버의 개편안을 보면 구글의 방식과 닮았으나 차이점을 만드는 것이 바로 그린닷이다. 네이버는 연결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그린윈도우를 전면에 걸고 기타 콘텐츠를 모두 사라지게 만들었으나, 그린닷이라는 특수기능으로 자체 콘텐츠 생태계로 통하는 ‘길’을 열어둔 셈이다. 검색 인터페이스를 터치로 풀어낸 장면도 흥미롭다.

한 대표는 그린닷의 도구적 기능에 주목했다. 한 대표는 “인공지능 등을 통해 다양한 기술적 실험을 담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콘텐츠 영역을 양날개로 확장한 대목, 즉 이스트랜드와 웨스트랩의 사용자 경험도 핵심이다. 이스트랜드는 기존 방식 그대로 텍스트 기반이다. 중요한 대목은 웨스트랩, 즉 왼쪽으로 스와이핑하면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커머스를 중심으로 인플루언서 콘텐츠까지 담아낸다는 설명이다.

최근 카카오를 비롯해 많은 ICT 플랫폼들은 공격적인 커머스 업계 진출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는 프로젝트 꽃을 중심으로 소상공인을 모아 상생이라는 공익적 가치를 내거는 한편, 커머스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확보와 생태계 강화 전략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그 최전선에 웨스트랩이 설 것으로 보인다.

▲ 웨스트랩 인터페이스가 보인다. 출처=네이버

언론사는 어떨까..‘주판알 튕기는 중’

네이버는 지난 5월 서울 역삼동 파트너스퀘어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모바일 화면 개편을 포함한 다양한 플랫폼 개편안을 발표한 바 있다. 모바일 화면에 뉴스 콘텐츠가 노출되지 않으며 검색 중심으로 재편된다는 청사진이 나온 것도 5월이다.

10일 발표된 안을 보면 네이버는 모바일 첫화면에 뉴스 콘텐츠를 배제했으며, 이 조치로 네이버에 입점한 언론사의 트래픽은 어떻게든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아웃링크에 대한 설명이 없는 가운데, 네이버는 뉴스 콘텐츠 편집 논란에 거리를 두는 쪽을 선택한 셈이다.

모바일 화면의 뉴스 콘텐츠를 배제하는 등 파격적인 정책이 등장한 이유에도 시선이 집중된다. 한 대표는 5월 “정치권의 압박이 아니라 네이버가 결정했다”면서 “이번 논란을 해결하지 못하면 네이버의 발전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해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으나,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사실상 등을 떠밀려 모바일 화면 개편에 나섰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네이버를 둘러싼 논란 자체는 댓글 조작에서 시작됐다. 네이버는 3월 댓글 정책을 발표하며 논란을 잠재우려고 했으나, 플랫폼 공공성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가 제기되며 상황은 꼬이기 시작했다. 네이버가 댓글 정책을 넘어 언론사와의 콘텐츠 수급 전략을 바꾸며 국면전환에 나선 이유다.

이 과정에서 네이버 사태를 통해 언론사, 특히 CP 언론사의 이중성도 여실히 드러났다는 평가다. 댓글 문제에서 촉발된 논란이 플랫폼 공공성으로 번지자 CP인 대형 언론사들은 일제히 뉴스 아웃링크 방식을 제안했다. 플랫폼 공공성을 상실한 네이버를 믿을 수 없다는 대의명분을 걸었지만, 그 이면에서는 작금의 논란을 기회로 삼아 네이버에 빼앗긴 뉴스 콘텐츠 주도권을 되찾겠다는 의지가 깔렸다는 것이 중론이다. 네이버의 검색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지만, 유통 주도권은 가지겠다는 발상이다.

전문가까지 내세워 아웃링크를 주장한 대형 언론사들은 네이버의 설문조사 하나에 주춤했다. 네이버가 70여개 대형 언론사에 아웃링크 의향을 묻는 의견서를 보내며 전재료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하자, 대형 언론사들은 전재료가 아쉬워 일제히 아웃링크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5월 기자회견 당시 유봉석 미디어서포트 리더는 “70여개 대형 언론사에 아웃링크 의향을 묻자 70%가 회신을 보냈고, 단 1개 언론사만 아웃링크에 찬성한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그리고 10월 공개된 새로운 네이버 모바일 개편은, 언론사와 플랫폼의 소모적인 전투를 일부 잠재울 계기가 될 전망이다.

네이버의 이번 조치를 통해 언론사가 포털 뉴스 편집권을 일부 강화했기 때문에, 추후 이와 관련된 논란이 불거질 경우 더 이상 ‘플랫폼 문제제기’를 하기 어려워졌다는 말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