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semble 16-8, 196×176㎝, Korean Traditional paper, Natural dyes, 2016

From the early to mid-1990s, Park Chul remained focused on fusing images of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 of violins with round straw mats and roof-end tiles within the same setting, and it seems that he intended to explore a different aesthetic possibility by contrasting the disparate formal qualities of these objects.

90년대 초반에서 중반에 이르는 시기에 박철은 바이올린이라고 하는 서양 악기와 맷방석, 와당의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에서 용해하는 작업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이는 서로 이질적인 조형성의 대비를 통하여 또 다른 미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의도로 해석된다.

▲ 2018년 성남큐브미술관에서 박철 화백 오프닝 때 축사하는 부인 백귀현 천연 염색가

As a professional artist, he has dedicated his efforts and passion to hanji works for the last 20 years, and his varied use of themes and materials using relief techniques distinctively differentiated his works in their beauty.

전업 작가로서 박철(서양화가 박철,박철 화백,朴哲,박철 작가,한지작가 박철,한지부조회화 박철)이 한지에 기울인 정성과 탐구 의욕은 지난 20여 년간 제작된 그의 작품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 부조기법을 통한 다양한 소재와 재료의 변용은 그의 작품에 뚜렷한 미적 차별성을 부여하였다.

In addition, Park Chul took and cast the violin as a kind of artistic object, sublimating it into distinct relief paintings. Such depictions of the violin and its sleek curves demonstrate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material of hanji, with a Western subject matter, presenting an outstanding sense of aesthetic gratification.

거기에 덧붙여 박철은 서양악기인 바이올린을 일종의 오브제 개념으로 받아들여 이를 캐스팅하는 한편, 뚜렷한 성격의 부조 회화로 승화시켜 나갔다. 날렵한 곡선미가 특징인 바이올린은 한국의 전통적인 재료인 한지(KOREA PAPER)에 서양적 소재를 결합시킨 것으로써, 탁월한 미적 쾌감이 돋보이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