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semble 9368, 74×74㎝, Korean paper Natural dyes, 1993

His recent works of <Ensemble> series originates from the reminiscence of his pm about ten years ago. He taught as a lecturer at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 1985, and there he had the chance to observe country villages near Andong about to be submerged into water with the construction of Imha dam.

근작인(앙상블)연작의 기원은 지금으로부터 약 10년 전쯤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경북 점촌이 고향이기도 한 화가 박철(ARTIST PARK CHUL,서양화가 박철,박철 화백,朴哲)은 1985년 무렵, 안동대학에 강의를 나간 적이 있었는데, 안동 근교의 임하댐이 건설되면서 수몰위기에 처한 시골의 마을들을 목격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He visited this places in crisis of submerging into water on his way from Seoul to Andong, Without any concrete plan, he visited the deserted traditional Korean houses with some frustration, and from there he collected straw cushions, fragments of broken roof tiles, broken door frames and so on. He says as follows in retrospect.

박철 화백(박철 작가,한지작가 박철,한지부조회화 박철)은 서울과 안동을 오가는 틈틈이 수몰위기에 처한 마을을 탐사하기에 이른다. 맨 처음에는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없이 그저 우리의 귀중한 생활양식들이 소멸돼 가고 있다는 막연한 안타까움에 주민들이 버리고 간 시골의 한옥들을 기웃거리기도 하고, 버려진 맷방석이나 와당의 파편, 부서진 문틀 따위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를 회상하여 '화가 박철'은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 Ensemble 9457, 30×60㎝, Korean paper Natural dyes, 1994

“I have always had particular affection for and devotion to our remnants from early childhood. As a result, in order to collect things such as furniture and agricultural instruments. I came to visit the places under construction of lmha dam which was to be submerged under water.

“어린 시절부터 우리의 옛 것에 대한 각별한 애착과 애정을 키워왔던 나는(PARK CHUL,KORAN PAPER,박철 화가, 한지화가 박철, HANJI ATIST)수몰지역에 무참히 버려져 있을 수도 있을 골동품적인 가치를 보유하고 있음직한 가구집기, 농기구 따위의 수집을 목적으로 87년 초부터 임하댐 공사현장 수몰지역을 드나들기 시작했다.

I succeeded in collecting various things such as door-frames, broken roof tiles, many kinds of agricultural instruments, horse saddle, straw mats, cattle mangers, iron rings on doors, many kinds of pots and jars, and so forth. I felt solitariness, the inevitable nihility and futility from me deserted old houses. In order to overcome this frustration. I tried to plasticate into my artworks the feeling coming from the forms of these remnants permeated with scent and sweat from our long past.

그 결과, 고가의 각종 문짝들, 부서진 와당, 허물어진 기와 조각들과 여러 종류의 농기구, 말안장, 멍석, 소의 여물통, 문고리, 각종 항아리류 등을 수집하게 되었고, 이미 사람들이 떠나가 버린 텅 비어 있는 폐허의 고가에서 영겁의 서글픈 얼굴을 부끄럽게 드러내버린 창문에서 오는 고독감과 오랜 시간의 연속성이 이제 그 단절의 현실 앞에서 감수하지 않으면 안 될 필연적인 허무와 무상함…. 그런 것들이 아쉬움으로 와 닿음으로 인해서 나는 그 오랜 세월의 우리네 땀과 체취가 배어있는 고물들의 형태와 느낌들을 작품화 할 수 있는 가능성 타진에의 시도를 시작하게 되었다”

<Notes of the artist, Monthly Magazine of Art World. July 1989, p. 49.>/<작가노트, 한지와 창호와의 만남, 미술세계 1989.7월호 49쪽>

△Yoon Jin Seop, Art Critic/윤진섭, 미술평론가